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 0
커버이미지 없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mother"s parenting stresses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625 employed and 1453 non employed mothers from the Korean children panel in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fant mothers experienced the medium level of parenting stresses. They reported the high level stresses in the parenting costs, the selecting parenting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y in their child"s emotional stability. 2) The non employed mothers perceived more difficulties in the parenting situations than the employed mothers. The employed mothers perceived their environment and their parenting itself in positive way. They were in the good psychological conditions, having a well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s. They also had more knowledge in the child rearing and social supports. 3) The mother"s psychological factors showed the high explanation power on their parenting stresses. 4) The father"s parenting assistant affecte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es only in the non employed mother.

이 연구는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환경 특성과 양육과정에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 수준과의 관계를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2008년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 중인 어머니 625명과 미취업 어머니 1,453명의 자료를 t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보통 정도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양육비용, 육아정보 선택, 자녀의 정서적 안정에 대한 책임감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둘째, 영아의 양육을 직접 감당하고 있는 미취업 어머니들이 취업 어머니들에 비해 양육 상황을 더 부담스럽게 인식하고 있다. 취업 어머니들이 더 건강한 심리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남편과 양호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고, 양육에 대한 지식의 수준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도 높아 현재의 양육 환경과 양육 과정을 더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다. 셋째, 양육환경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미취업 어머니 집단에서만 아버지의 양육참여 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