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child’s loneliness

  • 0
커버이미지 없음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 child’s loneliness. The participants were 588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Jeonbuk.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mean, frequency, percentile,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2.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children’s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are more open that those of male children and have ostentation-narcism stronger than that of male childre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hildren’s loneliness by sex. Second,it is indicated that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loneliness and it also has close relations with sub-variables in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ird, when investigating how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have influences on child’s loneliness, they have influences on child"s loneliness by the following order: social-friendly, mother-child communication,father-child communication.

본 연구는 전북 K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남녀 아동 588명을 대상으로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용 자기보고 설문지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CI), 아동의 대인관계성향 척도, 아동의 외로움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아동의 외로움 수준은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은 약간 개방적인 경향을 보였다. 아동의 대인관계성향은 사교-우호적 성향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독립-책임감적, 동정-수용적 성향으로 나타나 대체로 긍정적인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외로움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대인관계성향의 하위변인들과도대부분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수록, 사교-우호적 성향이 낮을수록 아동의 외로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아동이 외로움을 느끼지 않고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가정과 사회의 관심과 지원방향에대해 논의하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