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유망중소기업 지원프로그램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Export Promotion Programs on SMEs’ Export Performance: Focusing on Promising SMEs in Export
- 한국산업정보학회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28(2)
-
2023.0495 - 107 (13 pages)
- 2
본 연구는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출유망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수출지원프로그램이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BK기업은행에서 제공한 중소기업DB를 기반으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16,814개 기업의 42,312개 관측치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구축하여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원프로그램의 선정효과는 수출비중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가분석을 통해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되어 수출지원을 받는 기업들 중 유관기관(IBK기업은행) 금융지원을 이용하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수출증가율과 재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있어 수출지원제도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원제도의 유사성, 중복성이 그간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으로 한정하고, IBK기업은행의 수출지원프로그램의 효과를 특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설문조사 및 횡단면분석 중심의 선행연구를 보완하고 수출유망중소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xport promotion programs (EPPs)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influence of EPPs for promising SMEs in the export market. Using data on SMEs provided by the Industrial Bank of Korea (IBK), we conducted a fixed-effects model analysis from 2016 to 2019. Our study shows that EPPs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port intensity. Further analysis reveals that SMEs utilizing the financing support system provided by EPPs tend to improve their export growth and financial performance relative to their counterparts. While EPPs can assist SMEs with their internationalization efforts, their similarity and redundancy are recognized as potential limitations. This study complements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has mainly focused on surveys and cross-sectional analysis by specifying the research subject to promising SMEs in export,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xport promotion program supported by IBK Industrial Ban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SMEs" export capabiliti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