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기대확신모형(ECM)에 의한 인도네시아에서 K-Pop 소셜 미디어의 사용 연구

Study on the Use of K-Pop Social Media in Indonesia based o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 0
커버이미지 없음

한류는 국내에서 세계적인 현상으로 발전하고 시공간 제한이 없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로 국제화가 된다. 본연구는 인도네시아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류 홍보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대확신모형을 적용하여 개인의 혁신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자기효능감과 소셜미디어가 보여주는 속성인 지각된 유희성이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확신 그리고 만에 이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유희성은 지각된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신은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만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Wave is now internationalized through the internet by social media, which have no space-time restrictions. This research examine the continuance use of K-Pop promotion using social media in Indonesia. In this study we apply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self-efficacy and perceived enjoyment on perceived usefulness, 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of Social Media. As a research method for that purpose, the conformity of the model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enjoyment positively influences perceived usefulness, self-efficac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We also found that confirmation positively affects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that perceived usefulness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Finally, satisfaction was found to always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