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시설 부지 입체개발 유형 및 개발 방안 -경부선 철도 입체화 사업을 대상으로-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Type and Plan for Railway Facility Site - Focus on the Gyeongbu Line Railway Multi-Dimensional Project in Busan
- 대한토목학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 43(4)
-
2023.08525 - 533 (9 pages)
-
DOI : http://dx.doi.org/10.12652/Ksce.2023.43.4.0525
- 2
산지가 많은 부산시의 지형적 특성상 가용토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경부선 철도까지 도심을 가로지르고 있어 생활권의 단절과 도심발전을 저해 하고 있다. 이에 토지 확보를 위하여 입체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부선 철도의 지하화로 양분화 된 도시를 연결하고 토지 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의 입체개발의 사례를 통해 개발유형을 분석하고, 부산시내 경부선 철도의 지하화 사업 시 메인이 되는 4개 권역(사상역, 구포역, 가야역, 부산진역)의 입체개발로 발생하는 가용토지에 효과적인 활용을 위 한 시민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입체개발 유형별 개발방향 설정하였다. 또한 대상지 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 시재생사업을 반영하여 철도에 의해 양분된 지역생활권의 단절 해소 및 철도시설 부지의 효율적 토지이용을 통한 입체적인 개발을 통해 철도 부 지의 수평적, 수직적 공간활용의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ue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usan, which has many mountainous areas, there is a shortage of available land, and even the Gyeongbu Line railroad crosses the city center, hindering the disconnection of living areas and urban development. Accordingly, the need for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has been raised to secure land, and recently, interest has been increasing in connecting cities divided by the undergroundization of the Gyeongbu Line railway and making efficient use of land.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type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of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of lan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each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type was se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of four areas (Sasang Station, Gupo Station, Gaya Station, and Busanjin Station). In addition,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 and the ongo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 will propose a design plan for horizontal and vertical space utilization of the railway site through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efficient land us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