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동결건조 발아현미 추출분말이 배추김치의 유리아미노산함량,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on Free Amino Acid Content,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Korean Cabbage Kimchi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첨가 배추김치의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GBREP) 첨가량을 0, 0.67, 3.35 및 6.70%(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를 10℃에서 21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 유리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GABA함량도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GBREP 6.70% 첨가구에서 2배 이상 높아졌다. 총 페놀성 화합물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그 함량이 더 증가하였으나 대조구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자공여작용과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적숙기때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GBREP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pH별 실험에서는 pH 1.2에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0, 0.67, 3.35 and 6.70%) to the ferment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with GBREP,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was showed higher value by increasing the addition of GBREP. In particular,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Korean cabbage kimchi prepared with 6.70% GBREP was 2 times higher than control Korean cabbage kimchi.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GBREP, total phenol content was showed high value and the content was mo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except control Korean cabbage kimchi.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GBREP, electron donating activity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ing activity were showed higher value and then showed maximum scavening activity on palatable perio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with GBREP was higher than control Korean cabbage kimchi and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bility at pH 1.2.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