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전통 메주 유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대두단백 분해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 Hydrolysates with EnzymesProduced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 0
커버이미지 없음

대두단백 가수분해 산물의 맛과 향을 개선하기 위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system을 확립하기 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패턴이 서로 다른 효소로 생산된 단백 분해산물의 가수분해도와 표면 소수도 등을 측정하였다. 이들 분해물의 pattern을 SDS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고, 효소반응에 의한 단백질 분해물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균주가 생산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pH 변화에 따른 효소의 활성은 No. 16효소(Bacillus megaterium B16)와 No. 4효소(Aspergillus oryzae M4)는 pH 7.0에서 No. 95효소(Bacillus subtilis YG 95)와 No. 5효소(Mucor circinelloides M5)는 8.0에서 가장 높은 효소반응 활성을 보였다. 또한 반응온도에 따른 효소활성의 크기는 4가지 효소 모두 45℃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두단백질 분해물의 SDS 전기영동 pattern변화에서, Bacillus megaterium B16과 Mucor circinelloides M5의 효소(No. 16, No. 5)는 반응 후 분자량이 비교적 큰 peptide가 많이 생성되었으며, 효소반응 3시간 경과 후에도 분자량 66KD의 peptide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Bacillus subtilis YG 95와 Aspergillus oryzae M4의 효소(No. 95, No. 4)는 분자량 15KD∼45KD 미만의 작은 분자량의 peptide 물질이 주로 생성되었으며, 반응 2시간 경과후에는 30KD 미만의 저분자 Peptide가 주로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PLC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서 SDS 표면소수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며,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의 분해물의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No. 4(Aspergillus oryzae M4)와 No. 95(Bacillus subtilis YG 95) 가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효소들을 조합해서 분해한 단백 분해물을 관능검사한 결과,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와 조합된 것의 대두단백질 분해물이 비교적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분해물의 단맛은 시료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acillus megaterium B16과 Aspergillus oryzae M4를 조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단맛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효소특성을 이용하여 대두단백질을 가수분해를 하였을 때 다양한 단백질 분해물의 제조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enzymatic hydrolysis system improving of taste and flavor in the preparation of soy protein hydrolysates using the enzymes with excellent hydrolytic ability and different hydrolysis pattern of soy protein, Degree of hydrolysis(DH) and surface hydrophobicity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of enzyme reaction, hydrolysis patterns by the SDS electrophore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soy protein hydrolysates by enzyme reactions were investigated. Four enzyme reactions were highly activated at pH 7.0, 45℃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As result of changes on the pattern of soy-protein hydrolysates by SDS-electrophoresis, high molecular peptides of hydrolysates by No. 5(Mucor circinelloides M5) and No. 16(Bacillus megaterium B16) enzymes were slowly decrease and 66KD band of these were remained after 3hours reaction. Production of low molecular peptides of hydrolysates by No. 4(Aspergillus oryzae M4) and No. 95(Bacillus subtilis YG 95) enzymes were remarkably detected during the proceeding reactions. As results of HPLC analysis, low molecular peptides of 15∼70KD were mainly appeared during the proceeding enzyme reactions. And, the more DH was increased, the more SDS-surface hydrophobicity was decreased. Hydrolysates by No. 4 enzyme was not only the highest DH of all hydrolysates, but the strongest bitter taste in a sensory evaluation. Sweat taste among the hydrolysates showed little difference. But, when combinative enzymes were treated, combinative enzyme of No. 4(Aspergillus oryzae M4)and No. 16(Bacillus megaterium B16) showed the strongest sweat taste.In conclusion, we assum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epare the hydrolysates having functionality when soy-protein were hydrolyzed by these specific enzym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