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생화학적 표식자에 따른 성인들의 골밀도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the Biochemical Variable Markers in Adults

  • 0
커버이미지 없음

성인들의 생화학적 표식자를 검사해 골밀도에 직접 관여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전적 또는 생화학적 인자들을 규명하고 성인들의 골다공증 병태생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등과의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2007년 9월 12일부터 2008년 3월 18일까지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남성 568명 여성 430명으로 총 998명 수진자를 대상으로 양 에너지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골밀도에 직접 관여하는 혈액의 생화학적 표식자는 인, 칼슘, 관절염, 헤모글로빈, 글루코오스, 간 기능검사의 GOT, GPT, ϒ-GTP를 측정하여 성인들의 골다공증 병태생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및 예방에 생화학적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 남성은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여성은 대퇴경부의 골밀도가 20대에서 가장 높았으나 척추는 40대에서 골밀도가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여성들 중 폐경 후의 여성들보다 폐경 전의 여성들이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의 생화학적 표식자 인에서 정상 기준치 이상 군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에서 골밀도가 높았으며 여성은 정상치군 일 때가 대퇴경부와 척추에서 골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골밀도는 낮아지고 체중이 높아지면 골밀도는 높아졌다.

To evaluate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iochemical markers. We evaluated the BMD of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s of 998(male 568, female 430) persons who took a regular health screening in Woosuk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7 to March 2008 by dual energy bone mineral densitometry. Results of BMD are different in terms of biochemical markers. Especially aged people showed osteoporotic change progressively. Degree of osteoporosis increases with age. A steep decrease of BMD can be found in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low level of female hormone. More persistent effort is need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can reduce BMD values for prevention of problems by osteoporosis. In essence,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other biochemical markers must be studied continuousl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