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의료비 절감효과 분석

An Analysis of health related effect on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 Focus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 0
커버이미지 없음

노인일자리사업의 확대와 더불어 노인일자리사업이 가지는 건강증진효과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으나, 어떠한 특성을 가진 노인에게서 이러한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을 성별, 연령별, 학력별로 구분, 각각의 하위그룹에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가 노인의 의료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참여자 개인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0년도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2010년, 2012년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자료, 새누리시스템 자료 및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이들의 의료비 명세서 자료를 결합, 분석한 결과 성별로는 여성노인에 비해 남성노인에게서 의료비 절감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고, 80대 노인들이 다른 연령층의 노인들에 비해 의료비 절감정도가 크게 나타나 보다 고연령층에서 노인일자리사업의 보건의료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경우 다수가 초졸 이하의 저학력을 보인바, 노인들의 학력을 초졸이하와 초졸이상으로 구분, 보건의료효과를 분석한 결과 초졸이하 학력의 노인들에게서 의료비 절감정도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토대로 남성, 저학력, 고연령층, 즉 건강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는 집단에서 일자리사업의 의료비 절감효과가 크게 나타나 노인일자리사업은 건강이 취약할 것으로 기대되는 집단에게서 보다 부가적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health related effect o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based on the participants’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Senuri system database, 2010·2012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paticipants’survey and sample patient research data, we made a panel data with 2,441 sample from 2009 to 2013. For measuring physical health related effect, this study uses medical cost, number of days for hospitalization and visiting, number of days for treatment, unit cost of hospitalization and visiting, unit cost of treatment as proxy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effect of male participants is larger than female’s. Second,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improve the participants health especially for aged people. For more 80’has largest effect for the effect any other age groups. Third, the person who got primary school education were affected more than those who were well educated. These means that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has the additional effect for who has lower socioeconomic statu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