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커피 만들기 기술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성 장애 남학생 한 명을 대상으로 기초선, 중재, 일반화 및 유지 단계에 따라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시각적 자료 분석은 목표행동의 과제 분석 단계에 대한 독립적 수행율의 평균선, 경향선, 비중복비율, 효과의 즉각성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의 습득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이 지역사회 내에 위치한 카페에서도 일반화 되었다. 셋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이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on the coffee making skills of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applie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male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intervention was comprised of a baseline phase, an intervention phase, a generalization phase, and a maintenance phase. The coffee making skills of the research participant were measured using the same type of coffee machine at a café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ou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showed positive effect on coffee making skills of the participating student. Second, if the same type of coffee machine was used, coffee making skills improved from the use of visual cue were generalized in a different cafélocated in the local community. Third, the coffee making skills of the student participa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