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사자놀음 : 북한 실향민 공동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변화
Sokcho Saja Noreum: Transition and Transmission of a North Korean Community"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국립민속박물관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 0(13)
-
2018.05157 - 171 (15 pages)
-
DOI : http://dx.doi.org/10.35638/ijih.2018..13.020
- 3
이 논문은 속초 청호동 아바이 마을에서 재창조된 민속놀이인 사자 놀음을 통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이 공동체의 정체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탐색한다. 이 놀음은 마을의 고향, 북청의 추억, 북한과의 전쟁, 한국전쟁, 국토 분단 및 실향을 포용한다. 디아스포라의 사람들은 스스로를 ‘북청의 속초 사람’이라고 정체화한다. 이것은 이 놀음의 명칭은 속초 북청 사자 놀음에서 속초 사자 놀음으로 바꾸는 데에서 나타난다. 이 변화는 무형문화유산의 주요 요인들, 즉 자기 인식과 관련 공동체 및 집단의 역사적 및 사회적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지속적인 재창조, 유산의 정체성에 대한 유산의 연관성, 문화유산의 진실성, 무형문화유산과 인권의 상호 관계 등을 포함한다. 사자놀음은 살아있는 놀이이자 남한과 북한 사이의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tributes to the identity of a community through Saja Noreum , a folk play which has been re-created at Abai Village, Cheongho-dong, Sokcho. The play embraces the memories of the villagers’ hometown, Bukcheong, in North Korea, the Korean War, the national division and the loss of their home. People of the diaspora identify themselves as the ‘Sokcho people from Bukcheong’. This is also manifested in their changing the name of the play from Sokcho Bukcheong Saja Noreum to Sokcho Saja Noreum . This transition is analysed in terms of some of the main facto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lf-identification, constant re-creation as a response to the historical and social evolution of the community and groups concerned, the connection of heritage to the identity of its creators and bearers, the authenticity of the heritage,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human rights. Saja Noreum is a living expression and an important link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