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서사 자료 구축의 현황과 과제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하여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s in relation to the bibliographic database on print-edited classic novels
- 8
Th is study looked at the status of the construction of the bibliographic database on printedited classic novels and the remaining tasks. First of all, this book defi nes the classic book of type capital as a volume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publishing capitalists using a series of types to gain economic benefi ts. Th e book contains domestic and foreign classical novels, adaptations of them, and epic stories derived from classics or history.” Th e fi rst type of classical novels based on this defi nition were “Seosanggi” published by Bakmunsa Temple and Daedongseo City in 1906, and the last works were “Park Sijeon” and “Hong Gil Dongjeon” published by Hyangmin Temple in 1978. Th e bibliographic database on print-edited classic novels used the MS Offi ce Access program to design 41 items that can faithfully contain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print-edited classic novels. After selecting the title of the work by referring to Jo Hui-woong’s “List of Classical novels’ diff erent versions” and “Research Correction of Classical novels,” the books were entered according to each item, as well as the works introduced in the list, and the books of major library collections and private collections. Th is classic bibliography database has advantages in ‘searching’ of ‘various condi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onsumer, ‘alignment’ and ‘statistics’ using it, and ‘accessibility’ and its various ‘utility’. However, there are problems that need t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in the bibliograpic database. First of all, there is a need for a clos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itions because only the term “pan(版)” is us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pan(版)” and “print(刷)”. On the other hand, the library’s library collection provides URL information for the library, so you can review the database and connect it directly to the search result window of each library.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URL of each library is often changed, making it diffi cult to refl ect it immediately. And among the various lists and works in each library that were referred to when writing the bibliograpic database, bibliography information is often unclear or inaccurate. Therefore, those written only by these lists and library information need to be continuously modifi ed and supplemented.
본 연구는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현황과 남은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본고에서는 활자본 고전소설을 ‘20세기 초에 출판 자본가들이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하여 연활자를 활용하여 대량 출판한 단행본으로, 그 내용은 국내외의 고전소설과 그것의 개작, 고전이나 역사에서 유래한 서사적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라고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의에 따른 최초의 활자본 고전소설은 1906년에 박문사, 대동서시 등에서 발행한 『서상기』이며, 그 마지막 작품은 1978년에 향민사에서 발행한『박씨전』, 『홍길동전』 등이다.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는 MS Office Acce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활자본 고전소설의 서지 정보를 충실하게 담을 수 있는 41종의 항목을 설계하였다. 그리고조희웅의 『고전소설 이본 목록』과 『고전소설 연구보정』을 참고하여 작품의 표제를 선정한 뒤, 각종 목록에 소개된 작품들과 영인본, 그리고 주요 도서관 소장본과 개인 소장본의 서지 정보를 각 항목에 맞게 입력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는 수요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조건’의 ‘검색’, 조건에 따른 ‘정렬’과 이를 이용한 ‘통계’, 그리고 ‘접근성’과 그것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에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음과 같이 수정, 보완되어야 할 문제가 있다. 먼저 활자본 고전소설 판권지에는 ‘판(版)’과 ‘쇄(刷)’의 구별이 없이 ‘판(版)이라는 용어만 사용하고 있어 각 판본간의 관계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필자가 작성한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에는 도서관 소장본의 경우 해당 도서관의 URL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검토하다가 바로 각 도서관의 검색 결과창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각 도서관의 URL이 변경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할 때 참고한 각종 목록과 각 도서관에 소장된작품들 가운데에는 서지 정보가 불분명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이러한 목록과 도서관 정보에 의해서만 작성된 것은 지속적인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