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18편 2절, ‘내가 주를 사랑하나이다’의 번역과 신학적 의미 -사무엘하 22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of "I Love You, Lord" of the Psalms 18:2 and Its Theological Meaning - Focusing on Its Comparison with the 2 Samuel 22
- 0
이 연구의 목적은 시편 18편과 평행본문인 사무엘하 22장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시편 18편 2절이 어떤 신학적 의미를 가지는 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시편 18편과 사무엘하 22장은 겉으로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두 본문을 언어학적으로 비교 분석할 때 여러가지 차이점들과 문제가 발견된다. 차이점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서법의 차이, 단어 및 문법적 수정, 단어 및 문장의 첨가 혹은 삭제이다. 학자들은 두 본문 안에 나타나는 yod와 waw의 결함들을 주목해 왔다. 서법의 차이는 일관되지는 않지만 사무엘하에 비해 시편에 완전서법의 경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그 가운데 시편 18편 2절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존재한다. 그 행 자체가 사무엘하에는 없으며, 그 구절 가운데 사용된 동사 rhm은 칼(qal) 형태로 구약성서 내에서 여기에만 나타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주석가들은 이 낱말의 수정을 제안하거나 사무엘하에 비추어 행을 삭제할 것을 제안해 왔다. 본고는 시편 18편이 사무엘하에 비해 본문이 현대화 되었다는 것에 비추어, 후기 성서 히브리어의 영향 중 하나인 아람어화(aramaism)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 구절들을 살펴보고, 18편 2절에 언급되는 rhm의 해석을 아람어화적 현상 속에 비추어 검토하였다. 그리고 rhm을 구약성서의 고대 아람어 역본인 타르굼(Targum)과 비교하여 구약성서의 마소라 본문(MT)이 타르굼에 나타나는 rhm의 페알(peal) 형태 및 파엘(pael) 형태와 어떻게 대응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편 116편과의 본문상호적해석(intertextuality)을 통하여 시편 18편의 rhm이 ahab와 교차될 수 있음도 관찰된다. 시편의 최종 편집자는 사무엘하를 다양한 측면에서 개정하고 있다. 무엇보다 사무엘하에 들어 있는 본문의 모호한 의미들을 분명하게 만들고, 당대의 독자들을 위해 본문을 현대화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heological meaning Psalms 18:2 has in the main body of the Psalms by doing comparative analysis of it with its parallel text, 2 Samuel 22. The Psalms 18 and 2 Samuel 22 apparently are not very different. But, when the two texts are compared linguistically, they reveal various differences and problems. Such difference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kinds: differences in orthography, revision of words and grammar, and addition and deletion of words and sentences.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defects of "yod" and "waw" which appear in two texts. While it is not consistent, the writings in the Psalms tend to adopt plene spelling more than those in the 2 Samuel. Meanwhile,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the Psalms 18:2. The line itself is not shown in the 2 Samuel. The verb "rhm" used in the phrase is "qal" form, and it is peculiar to observe that the form is used only here in the whole Old Testament. This study examined the phrases which can be regarded as Aramaism phenomenon, one of the effects of Late Biblical Hebrew, and checked the understanding of "rhm" mentioned in the Psalms 18:2 in light of the Aramaism phenomenon. It found out that the text of the Psalms was more modernized than that of the 2 Samuel. And, this study compared "rhm" in the Masoretic Text (MT) with the "peal" form and "pael" form shown in Targum, ancient Aramaic translation of the Old Testament, In addition, through intertextuality of the Psalms 18 and 116, we can observe that rhm of the Psalms 18 can be exchangeable with "ahab". The final editor of the Psalms revises 2 Samuel in various aspects. Above all, the editor made clearer some ambiguous sentences in 2 Samuel, and modernized the text of the Psalms for contemporary reade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