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이주해 온 여성들은 가족, 친지, 동료 등의준거집단이 없는 채 일정 부분 강제적 성격을 띨 수밖에 없는 동화의 과정을 헤쳐 나가야 한다. 그리고 동화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해도 한국사회에서이들의 성원권은 여전히 조건적이고 불완전하다. 언어소통의 문제 뿐 아니라 유교문화와 부계 혈통주의,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의 소비문화와 경쟁위주의 교육제도 등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은 지속적인 고립과 사회적 불안을 겪을 확률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편으로는 상이한 국가에서 온 다른 이주 여성들과의 만남을 통해 ‘우리 이주 여성’이라는 집단적 정체성을 구성해나가고,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활동가들과 시민 사회 의제를 논의하고 신념을 공유함으로써 ‘활동가’로서의 의식을 일깨우는 공간/장소는 이주여성들의 정체성 구성과한국사회로의 주체적 통합에 매우 중요하다. 이곳은 ‘이주여성’이나 ‘다문화 가정’이라는 기호의 해석을 독점하는 주류사회에 대항해 상징적ㆍ문화정치학적 투쟁이 벌어지는 공간이며, 구체적이고 물질적인 만남과 행위가 실천되는, 다시말해 다문화적 태도가 학습되고 체화되는 장소이다. 모든 이주여성공동체가 이런 공간/장소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의식의 지향성과 심리적 애착이 동시에 뿌리내릴 수 있는 이런 공간/장소로 기능하는 이주여성 공동체는 결혼이주여성을 비롯해 이주민의 인정 투쟁이 벌어지고 역량강화가 이루어지는 적합한 문화적ㆍ정치적 장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천 여성의 전화가 추진하는“아시아 이주여성들의 다문화 마을”을 예로 들어 이주여성 공동체가 인정투쟁의다문화 공간/장소로 구성되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Focused on "AMWMC"(Asian Migrant Women"s Multicultural Community)in Inch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community of married migrant women has grown to become a multicultural space and place, in which the women’s struggle for recognition has become active.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 have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compulsory assimilation without any support group such as family, relatives, or peers. And even if they have "successfully"assimilated, their membership in Korean society is still conditional. The Korean language barrier is not the only problem that these women face. Confucian culture with its ideology of pure blood lineage following the paternal line, the consumption culture of neo-liberalism,and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based on brutal competition all contribute to the long-lasting isolation and social insecurity of married migrant women. In this context, place and space are very important. Married migrant women from different countries have the possibility to meet with each other and develop a collective identity of "we are migrant women" on one hand, and the consciousness as "activist" on the other. This sense of community and sharing of ideas about a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shared with Korean NGO activists. Belonging to such a community is crucial for migrant women not only to develop an undistorted identity, but also to be integrated into Korean society. In a migrant women"s community like "AMWMC" members are able to share their experiences of migration fully against the monopoly of representation of "migrant women" or "multicultural family," that mainstream society holds. In other words, they’re able to speak for themselves and have their own agency. AMWC is also a place in which a real multicultural attitude and relationship can be learned and embodied. The roots of empowerment for married migrant women grow from psychological attachment and mental orientation, and by working together mutual recognition can be achieved by mainstream Korean societ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