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축구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아동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스포츠맨십과 인성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교 스포츠 클럽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B광역시 B교대의 총장배 축구대회에 참여한 5,6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스포츠 리더십 질문지, 스포츠맨십 질문지 그리고 인성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 일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리더십유형과 스포츠맨십 그리고 인성의 하위요인간의 상관분석에서 권위적 행동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 간에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권위적 행동은 모든 변수들 간에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스포츠맨십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긍정적 영향(p<.01)을 미치며 긍정적 피드백은 상대존중과 판정존중 요인에서 긍정적 영향(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주적 행동은 인성의 하위요인 중 인내성(p<.05), 집중력(p<.01), 침착성(p<.01)에서, 훈련과 지도는 침착성(p<.05), 자신감(p<.01), 공경심 및 예절(p<.01)에서 그리고 긍정적 피드백은 자아존중감(p<.01), 리더십(p<.01)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권위적 행동은 인내성(p<.05)과 공경심 및 예절(p<.01)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ship types of elementary school sports club coaches, sportsmanship and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67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elementary school sports club activity. The instruments for data collection were Leadership Scale for Sport(Kim, 1992), Sportspersonship Orientations Scale(Seong, 2003), and Personality Questionnaire(Lee, 2002).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a)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leadership types identified by the respondents, their sportsmanship and all sub-variable of personality. But the authoritative leadership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b) the sportsmanship of the respondents was positively related by their coaches" social support leadership. Positive feedback leadership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spect on their counterpart and umpire"s decision. (c) their coaches" democratic leadership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tience, attention, and composure which are sub-variables of personality. And training and Instructing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composure, confidence, respect, and courtesy. In the case of positive feedback, i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respect and leadership.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itative leadership and patience, respect, and courtes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