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연구보안 사고사례분석을 통한 연구자 보안대책 설계방향 관찰연구

The Observational Study on Researcher Security Design Direction by R&D Security Accident Case

  • 0
커버이미지 없음

오늘날 기술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기술패권 경쟁의 흐름 속에서 연구개발 투자뿐만 아니라 연구개발에 대한 보안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개발 보안사고 발생이 가져오게 되는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연구산출물에 대한 유출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개발 산출물에 대한 유출사고의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기관 중심의 거시적인 보안관리체계보다는 연구현장에 있는 연구자에 대한 규정 개발이 시급하다는 1 차적 결론을 도출하였고, 그 다음 현장 관찰방법론을 통해 연구자 중심의 보안대책 설계 방향을 크게 4 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자 보안대책 설계 방향은 향후 연구 현장에 특화된 규정 및 연구기관 보안 관리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R&D) security as well as R&D investment is emphasized in the flow of technology hegemony competition, where technology is directly related to national competitiveness.However, despite the enormous impact of the R&D security failure results, research output leakage accidents continue to occur.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leakage accidents and cases of R&D output and concluded that it is priory to develop regulations to raise security awareness at the field researcher level rather than the macroscopic security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design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er security measures,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the university research site, and four directions were presented, including case analysis and integration. The direction for designing researcher security measure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security regulations specialized in future research sites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s for research institut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