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사회적자본과 사회적경제 참여 의사 간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서울시민을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economy: Focusing on Seoul residents

  • 0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자본과 사회적경제 참여 의사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갖는 매개효과를 서울특별시 지역에서 조사된 자료로 확인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저자들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조사 자료’ 중 서울지역 주민 6,216명 대상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호혜성 규범과 제한적, 일반적 신뢰가 강할수록 사회적경제 참여 의사가 높아지며 공동체의식이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주민 간 네트워크는 사회적경제 참여 의사를 감소시키지만 공동체의식이 매개하면 사회적경제 참여의사가 높아진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이론적으로 사회적자본과 사회적경제 참여 의사의 관계를 분석할 때 공동체 의식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정책적으로 사회적경제 참여 의사를 높이기 위해 호혜성 규범과 신뢰를 강화할 주민활동이 중요하며 공동체 의식을 높이기 위한 꾸준하고 밀도 있는 활동을 필요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economy.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the authors utilized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s Survey Data, featuring responses from 6,216 residents in the Seoul area.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creased levels of norm of reciprocity, generalized trust, and particularized trus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economy and that a sense of community acted as a mediator. Furthermor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ough the network between residents reduce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economy, the intention increased again when mediated by a sense of community. From a practical standpoint, strengthening norms and trust through resident activities is important and steady, dense activities are needed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nd increas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econom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