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그릿, 무경계경력, 프로티언경력, 주관적 경력성공, 삶의 만족 간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rit, Boundaryless Career, Protean Career,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Life Satisfaction

  • 0
커버이미지 없음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동기이론의 성취욕구 관점에서 그릿, 무경계경력, 프로티언경력, 주관적 경력성공, 삶의 만족 간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수행을 위해 2022년 8월 1일부터 2주간 국내 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521건의 유효자료를 확보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5.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수립한 가설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는 첫째, 그릿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 관계는 긍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그릿과 무경계경력 간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그릿과 프로티언경력 간 관계는 긍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무경계경력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프로티언경력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 관계는 긍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주관적 경력성공과 삶의 만족 간 관계는 긍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일곱째, 무경계경력은 그릿과 경력성공 간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여덟째, 프로티언경력은 그릿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아홉째, 주관적 경력성공은 그릿과 삶의 만족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열째, 무경계경력은 주관적 경력성공과 함께 그릿과 삶의 만족 간 관계를 연속매개하지 않았다. 열한째, 프로티언경력은 주관적 경력성공과 함께 그릿과 삶의 만족 간 관계를 연속매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RD 관점에서 논의하고 연구영역과 실무영역을 위한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Purpose] The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rit, boundaryless career (BC), protean career (PC), subjective career success (SCS), and life satisfaction (LS) from need for achieve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ory. [Methodolog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 conducted on an online survey for two weeks from August 1, 2022 for corporate employees in South Korea. After that 521 valid data colle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were analyzed.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SEM. [Findings] The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CS was positively significant; (2)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BC was not significant; (3)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the PC was positively significant; (4) the relationship between BC and SCS was not significant; (5) the relationship between PC and SCS was positively significant; (6) the relationship between SCS and LS was positively significant; (7) BC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CS; (8) PC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CS; (9) SCS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S; (10) BC and SCS did not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S; and (11) PC and SCS positivel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S.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presented implications for both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from HRD perspectiv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