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인간의 보편적 정서이자 정신을 의미하지만, 성리학에서는 마음을 우주의 운행원리 및 사물의 이치를 갖추고 있으며, 인간의 사유기능을 담당하고, 도덕적 행위의 주체이며, 인간의 도덕적 본성인 성(性)을 포함하고 있다고 이해한다. 조선후기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 1711-1788)는 리기동실(理氣同實), 심성일치(心性一致)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성선(性善)의 실현주체로서 마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글은 녹문 임성주의 성리학에 나타난 마음[心]의 이해와 도덕적 행위의 주재자로서 성선의 실현 주체로서 마음의 기능에 대한 특징을 연구하였다. 녹문은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전제에서 성선은 기선(氣善) 즉 기질선(氣質善)으로 완성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녹문은 ‘리와 기는 동등한 본질(本質)이다’는 전제 아래 주리(主理)⋅주기(主氣)의 이분법적 도식에 따르지 않고, 성선을 실천하는 마음의 문제로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녹문의 심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녹문은 성선(性善)을 실천하는 주체인 마음에 성선(性善)을 완전하게 실천할 수 있는 근거를 리기론적으로 해명함으로써 마음의 실천능력을 한 걸음 더 심화시킨 의미가 있다. 둘째, 인심도심에 대한 해명에서 녹문은 도심으로 실현된 인심은 도심과 일치된다고 하여 인심즉도심이라고 하였다. 녹문의 이러한 입장은 율곡의 인심도심론과 같은 맥락에 있지만 인심이 도심의 명령을 듣는다는 율곡의 입장과 달리 마음의 주제력에 의한 인심도심의 일치를 주장한 점이 다르다. 셋째, 마음의 기능을 지각기능과 주제기능으로 세분해서 자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마음의 인식기능과 행위주체로서의 의미를 분명하게 정리해 주었다. 넷째, 마음의 수양론에서 녹문은 마음의 주체적 기능을 더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설명보다는 선의 실천을 더 중시하였다. 특히 녹문의 수양론에서 강조한 것은 이기적 자아에서 탈피하여 윤리적 자아의 형성이 곧 유정유일 윤집궐중이다. 인심유위 도심유미에서 인심은 이기적 자아이며, 도심은 윤리적 자아이다. 이 윤리적 자아는 타자의 자아의 유한성을 넘어서 타자의 구체적인 현현(顯現)을 직시하는 마음이다. 즉 윤리적 근원을 자율성에 근거한 자기원리에만 근거하는 것은 자기원리에 나타나지 않는 타자성을 받아들일 여지가 없을 수도 있다. 유정유일 윤집궐중은 자신의 마음 속에 자율적 자기원리를 확인하는 동시에 그 속에서 타자의 현현(顯現)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공부이기도 하다. 이러한 녹문의 심론은 소외와 인간경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regarded as the insufficiency of understanding on the mental training of Sung Confucianism in the case of evaluation it is merely concentrated on personal training and it is regardless with others-namely scholarlic activities-of the methodology in it. Nokmun(鹿門) Im Seong-ju(任聖周)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ure good nature in the presupposition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working equally in real(理氣同實) and the coincidence of mind and nature(心性一致). He adjusted the focus of mind which practically acting philosophy whereas he didn"t accompany the dichotomy of ‘Li(principle)-centered theory(主理)’ and ‘Ch’i(vital force)-centered theory. The research results of the theory of mind of Nokmun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Nokmun is meaningful in the sense of that he has deepened the ability of practice in man"s mind as he has shown the evidence of the ethical doctrine of innate goodness with the description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theory. Second, Nokmun has regarded man"s mind as morality in the explanation on it as he defined man"s mind has the equal meaning with human morality. The standpoint of Nokmun is in collusion with the theory of Lee I(Yul-gok), but it has the difference with it in the sense of Lee I maintained his original doctrine which the will of people usually follow the pure mind. Third, Nokmun cleary readjustmented the fuction of the recognition and as a subject of its behavior which as he explained the fuction of mind deviding into two in the point of recognitional fuction and the subjectional function in detail. Fourth, Nokmun attach importance to practice of goodness rather than explanation of philosophical theory doing put an emphasis on subjectional fuction on man"s mind in the theory of mental training. Especially in the Nokmun"s theory of mental training, the formation of moral-selfness was emphasized as getting out of selfish ego. The will of people is selfish ego, and pure mind is moral-selfness in this philosophical theory. This moral-selfness can look squarely the practical present situation of others in exceed of other"s finitude. Namely, when the foundation base of morality is only on the self-doctrine standing on self-control, there is possibility of no room for argument on acceptance to others which doesn"t make an appearance in self-fundamental truth.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