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Introduc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ism) in Italy: theories and practice

Introduc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ism) in Italy: theories and practice

  • 0
커버이미지 없음

세계화와 관련된 현상으로서, 이민은 확실히 교육에 있어서 가장 긴급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세계는 남부지역 혹은 동유럽으로부터 소위 부국이라 일컬어지는 국가로의 이민 물결에 직면하고 있다. 유럽에는 2천만 명 가량의 사회주의 외부의 거주자가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는데, 이탈리아는 독일, 프랑스 그리고 영국을 이어 네 번째로 이민자 수가 많은 나라이다. 이민은 외국인과 지역 거주자들이 시민으로서 공존하는 방안을 모든 국가가 모색해야 함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간문화교육에 있어서 하나의 도전이다. 최근 대규모나 중간 규모 또한 소규모의 도심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일상적인 경험은 다른 지역에서 온 (다른 방식으로 말하고, 놀고, 기도하고, 공부하고, 생각하고, 먹는) 사람들의 역사 및 일대기에 지속적으로 비교됨으로써 특징지어진다. 간문화교육은 그것의 목적을 그러한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에 둔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간문화교육의 중요한 역할은 또한 ‘interculturale’라는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관련된 활동들과 정보를 담고 있는 인터넷 웹사이트가 89개나 검색된다는 것에서도 입증된다. 이 논문에서 나는 이탈리아에서의 간문화교육의 간략한 역사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에 앞서 다음의 국면들에 대해 다룰 것이다. 1) 간문화교육에 대한 정의와 재정의의 맥락에서 간문화주의의 의미에 대한 소개 및 간문화주의라는 개념이 지니는 의미의 다양성과 간문화주의로 간주되는 다른 개념들에 대한 해명. 2) 정치적 의도들, 행정상의 법령들, 비평 그리고 말하자면 제도적 대안과 자발적 고립의 두 부류로 나뉠 수 있는 행정상의 법령들에 연계된 반응들. 3) 학교교육과 교사 양성에서의 간문화 프로그램.

As a phenomenon related to globalization, immigration is definitely one of the most pressing concerns of education. The whole world is facing a stream of immigrants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world and from Eastern Europe toward the so called “rich countries”. An estimate shows around 20 million extra-communitarian residents in Europe; Italy figures as the fourth most immigrant-populated country after Germany, France and England. Immigration means that each country has to find solutions for the civil cohabitation between foreigners and locals and this is a challenge of intercultural education. Nowadays, the daily experience of all the citizens who live in large, medium and also small urban centers is marked by a continuous comparison with histories and biographies of people coming from elsewhere (different ways to speak, to play, to pray, to study, to think and to eat). Intercultural education sets as its objective an education that is conducive to an understanding of such differenc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our daily life is also testified by as many as 89 websites related to the activities and information listed by search engines under the Italian key word “interculturale”. In this paper I intend to outline a brief history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Italy. Before that I shall deal with the following aspects: 1) introduction of the meaning of interculturality in the context of the definition and re-definition of the contents of intercultural education, together with clarifications about the maturation of the meanings of the term, and a clarification of other terms with regard to interculturality; 2) political intentions, ministerial decrees, criticism and variegated and responses articulated to ministerial decrees which can be grouped in two, namely, institutional-alternative and spontaneous-isolated; 3) intercultural programs in school education and in training the teacher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