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중기 성적과 그 위험인자에 대한 분석
The Mid Term Clinical Result and the Risk Factor Analysis of Isolated Aortic Valve Replacement
- 대한흉부외과학회
- Journal of Chest Surgery
- 38(2)
-
2005.02110 - 115 (6 pages)
- 0
배경: 단독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중기 임상성적과 그 예후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인자들을 본원의 증례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단독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시행받은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남자 58명, 여자 22명이었으며 연령분포는 최저 12세에서 최고 75세로 평균연령은 46.8 13.0세였다. 술후 급성심근경색으로 인한 조기사망이 1예(1.3%)였으며, 1명의 조기사망예와 연락이 되지 않는 5예를 제외한 74명을 외래추적 및 전화설문을 시행하여 최단 6개월에서 최장 117개월까지 평균 44.2 29.7개월을 추적조사하였으며 총누적기간은 272.8 환자-년이었다. 결과: 재원기간내 합병증은 창상감염 12예(표재성감염: 11예, 종격동염: 1예), 부정맥 11예(일시적: 9예, 지속적: 2예), 저심박출증 3예, 늑막삼출 3예, 섬망 3예, 출혈으로 인한 재수술 2예 등이 있었다. 판막관련 만기 합병증은 총 7예(2.6%/환자-년)으로 항응고제 관련 출혈이 2예(0.7%/환자-년), 치환판막 심내막염이 2예, 경도의 판막주변부 누출이 2예, 치환판막기능부전으로 대동맥판막 재치환술을 받은 경우가 1예(0.4%/환자-년) 등이었다. 만기 사망은 4명이었으며 그중 담도암과 위암으로 인한 사망이 각각 1예씩 있었으며 술후 4개월에 치환판막감염 및 뇌전색증으로 인한 사망 1예, 술후 38개월에 심부전으로 사망한 1예가 있어 심장과 관련있는 사망은 2예(0.7%/환자-년)였다. 결론: 60세 이상의 연령(p=0.04), 술전 NYHA 기능분류(III, IV)(p=0.048), 술전 크레아틴 농도(>1.2 mg/100 ml)(p=0.031), 대동맥교차차단시간(>90분)(p=0.042)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조기사망 및 유병률에 연관이 있었다. 만기 사망 및 유병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는 60세 이상 연령, 술전 NYHA 기능분류(III, IV), 술전 크레아틴 농도(>1.2 mg/100 ml), 총체외순환시간(>120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판막관련 합병증 비발생률은 86.4 5.3%였으며, Kaplan-Meier식 보험통계적 10년 생존률은 90.8 4.6%였다.
Background: The aims of this paper were to review the mid term clinical results and to analyze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of isolated aortic valve replacement (AVR).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1992 and February 2003, 80 patients underwent isolated AVR. 58 were male and 22 were female patients, raging from 12 to 75 years of age (mean: 46.8±13.0 years). 74 patients except one early death and 5 follow-up loss were contacted by OPD or by telephone.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44.2±29.7 months and the total cumulative period was 272.8 patient-year. Result: The complications in hospital occurred in 35 cases : 12 wound problems (11 superficial, 1 deep), 11 arrhythmias (9 temporary, 2 persistent), 3 low cardiac output, and so forth. The late deaths were 4 cases : the heart-related deaths were 2 cases (0.7%patient-year). Conclusion: The risk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arly mortality and morbidity were older age (>60 years)(p=0.04), poor preoperative NYHA functional class (>3) (p=0.048), high preoperative serum creatinin level (>1.2 mg/100 ml)(p=0.031), long operation time (aortic clamping time>90 min)(p=0.042). The same factors influenced the late mortality and morbidity. Freedom from valve-related complication was 86.4±5.3%, actuarial survival rate were 96.8±2.3% at 3 years and 90.8±4.6% at 10 yea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