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내면화된 수치심과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Implicit Self-Love on Social Insecurity: Mediation Effect of Difficulty in Emotional Control

  • 7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내면화된 수치심,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내면화된 수치심,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정서조절 곤란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내현적 자기애 중 사회불안에 어떤 변인이 더 영향을 주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학생 251명이다. 연구방법은 각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정서조절 곤란이 높았으며, 사회불안 역시 높았다. 정서조절 곤란은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곤란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도 정서조절 곤란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으로 확대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정서조절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 연구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inner self-love, and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whether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inner self-love,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find out which variables affect social anxiety more among internalized shame and inner self-lov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1 college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internalized shame and inner self-love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difficulty of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was also high.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were also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control intervention is important in preventing internalized shame and expressive self-love from expanding to social anxiet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were discuss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