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오장환 시론 연구 – 소월· 예세닌 비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ics of Oh Jang-whan – focused on his literary criticism on Kim So-wol and Yesenin

  • 3
커버이미지 없음

Oh Jang-whan derives his poetic direction and the will to act from the sympathy and criticism on the ‘death’(suicide) of Kim So-wol and Yesenin, considering them typical poets of 1920s and 1930s respectively. The literary criticism on Kim So-wol represents his literary criticism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hile that on Yesenin represents his literary criticism in the period of his anti-Japan movement and studying in japan. He pays attention to the symbol of poems in Joseon dynasty sympathizing with Kim So-wol as a solitary and sorrow youth in the colony. He pays attention to the symbol of nostalgia and intention of Yesenin - a poet in transitional era - to pursue ideology. Although sympathizing with the youth living in colony, he points out what they, poets who embodies the ‘symbol system of Joseon’ such as Kim So-wol, should overcome. This is the overcome of the spirit distorted and intimidated unconsciously through the experience of Chinese-Japanese war. In other word, he insists that Korean should get out the situation such as locked in ‘hermitage’, ‘calling phantom’ beside ‘tombs of ancestors’, calling the desire of independence as the ‘initials’ like Kim So-wol. He insists that it is the task of poets that they overcome passive attitude and pre-modern emotion. He tells active resistance to Japan, the ‘7th solitude’ having the ‘frost-like razor blade’, as an ‘old slave’ who delivers a message to a ‘young slave’. Through criticism on Yesenin, he shows dilemmas met with between values of traditional society and ideology of new era in rapid transitional era. He comprehends Yesenin’s 「disappearing Russia」 as a sign of freedom from ideology before Yesenin’s suicide. His 「a road to communist youth union」 is an overcome from Yesenin’s ‘running away from communist youth union’. That is to say, despite sympathizing their anguish and death, he pursues overcoming those. Contrary to Yesenin, he could overcome rapid transitional era with his attitude towards the family and neighbors. Yesenin finds himself incohesive in the family, neighbors and comrades, even missing them and dreams of ‘the best poet in Russia’ disconnected with them. However, Oh Jang-whan finds himself cohesive in them and dreams of the world of ‘cooperation reward’ connected them.

오장환은 김소월과 예세닌을, 각각 20년대와 30년대 사회적 시대적 전형시인으로 간주하면서 두 사람의 ‘죽음’에 관한 공감, 및 비판으로부터 오장환 자신의 시적 지향과 실천의지를 끌어내고 있다. 김소월에 관한 평론이 일제 강점기의 오장환의 시론을 대표한다면 예세닌에 관한 평론은 일본 유학기 및 항일운동기 오장환의 시론을 대표한다. 오장환이 소월에게서 식민지 청년의 고독과 비애라는 민족적 공감으로서 조선시의 상징에 주목하였다면, 그는 예세닌에게서는 이념을 추구하기 위해 타지를 떠도는 과도시대 시인의 향수와 의지의 상징에 주목하였다. 오장환은 피식민지 청년의 상황에 공감하면서도 ‘소월’과 같은 ‘조선식 상징세계’를 형상화한 당대 시인들이 극복해야 할 지점을 지적한다. 그것은 ‘일지 전쟁의 단초로부터 문학을 지망하기 시작한 젊은 층과 애호층이 자기들도 모르는 사이에 받아들인 왜곡되고 위축된 정신세계’를 극복하는 일이다. 즉 그는 당대 우리민족이 소월처럼 ‘삼수갑산’에 갇히거나 ‘조상의 무덤가’에서 ‘혼령’을 부르거나 해방의 염원을 ‘이니셜’로 부르는 국면으로부터 벗어날 것을 주장한다. 즉 그는 당대 시인들의 과제가 시적 자아의 수동적 태도 혹은 근대 이전의 감정적 추구방식을 극복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오장환은 ‘어린 노예’에게 전언하는 ‘늙은 노예’의 입장에 서서 ‘서릿발 같은 면돗날’(「불길한 노래」)을 지닌 ‘제 7의 고독’ 즉 적극적 항일의 길로 갈 것을 전한다. 오장환은 예세닌 비평을 통하여 급격한 과도시대에서 전통사회의 가치와 새 시대의 이념 그 사이에서 겪는 딜레마를 자기반영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가버리는 러시아」에 관하여 예세닌이 목숨을 끊기 전 이념적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한 표지로 해석한다. 「공청으로 가는 길」은 그가 예세닌의 ‘공청의 뒤에서의 줄달음질’을 극복지양한 선언에 해당된다. 즉 그는 ‘소월’과 ‘예세닌’에 관한 자기반영적 시인론을 쓰면서 그들의 고뇌와 최후에 깊이 공감하면서도 이를 지양,극복한 삶을 지향하였다. 그가 예세닌과 달리, 전사회에서 새사회로의 급격한 전환기를 헤쳐 나갈 수 있었던 원천은 가족과 이웃을 향한 그의 태도와 관련이 깊다. 즉 예세닌이 가족과 이웃과 동지를 그리워하면서도 그들의 삶과는 별개로 겉도는 자신을 발견하고 그들의 삶과는 괴리된 ‘러시아 최고의 시인’을 꿈꾸었다면, 오장환은 그들의 삶과 밀접히 연결된 자신을 발견하고 그들과 자신을 연결하는 ‘서로 합하는 보람’의 세계를 꿈꾸었던 것이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