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독립 가구의 주거요구 및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제3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청년 독립 가구는 사회적인 위치와 경제적인 기반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주거약자로 분류할 수 있는 계층이며, 이들을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거공간에 대한 지원 정책만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적인 인프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Ray Oldenburg가 제시한 “제3의 장소”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청년 독립가구의 제3의 공간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한 의견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독립가구에게 가장 중요한 제3의 공간의 특성은 접근성, 휴식성, 편안성으로, 제3의 공간의 유형 중 ‘휴식지향형’의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과 연결할 수 있다. 둘째, 청년 독립가구의 특성을 반영한 제3의 공간은 거의 공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지역사회의 다양한 공간 자원과 연계한 공간 운영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년 독립가구는 사회적인 관계의 형성의 욕구보다 사색의 시간과 개인적인 휴식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제3의 공간의 개념을 재정립하여 청년 독립 가구의 실질적인 수요와 특성을 반영한 제3의 공간의 특성 및 기능, 유형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types of third space in consideration of the housing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young adult households, through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They are classified as the housing underprivileged because their social position and economic base are relatively unst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spatial infrastructure to support housing welfare in residential areas for independent young adult households.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adopted the concept of “the Third Place” suggested by Ray Oldenburg.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independent young agul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third place for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ly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place are accessibility, relaxation, and comfort. This is related to the highest preference for ‘rest-oriented’ space among the types of the Third Place. Second, the third place hard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young adult households. It is necessary to seek a space plan in connection with various spatial resources in the local community. Third, they had a higher desire for the place for meditation and personal rest than the desire to make social relationships. As the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direction for the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types of the third place reflecting the practic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