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불교언어의 현대역(現代譯)을 위한 현실 번역의 한계와 번역의 방향을 제안하여 불교언어의 활성화에 작은 보탬이 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번역에는 번역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그와 연결된 사회적 시스템도 매우 중요하다. 이 두 요소가 균형을 이룰 때 최상의 결과가 도출된다. 그래서 통시적 관점에서 국어 번역사를 정립하여, 그 역사성을 토대로 불전의 번역 참여 및 번역 시스템의 검증을 통해 현재와 향후 추구해야 할 번역 태도와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최초의 불전 번역기관이었던 간경도감의 번역 절차와 제도적 번역 시스템을 재검토하여 현실 번역에서 지향해야 할 점을 확인하였다. 우리 글말의 빈자리를 중국 한문이 차지하고 있었던 만큼 불전의 번역 과정은 국어의 번역사이기도 하다. 한반도의 역사와 함께 지탱해온 불교는 우리말글에서도 중심 영역을 담당해 왔으나 근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점점 그 세력을 잃어버렸다. 성서의 한글번역화 작업으로 기독교의 용어로 자리이동된 불교언어들이 많아졌고, 불교 개념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가 낮아 대중들의 언어권에서 그 힘이 약화되었다. 불교언어의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언어사용자가 많아져야 한다. 그러기 위한 방편으로 기존 번역 태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새로운 재번역의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Buddhist vocabulary by suggesting the limits of real translation and the direction of translation for modern translation of Buddhist language. In translation, the role of the translator is important, but the social system connected to it is also very important. The best results are obtained when these two factors are in balance. Therefore, by examining the translation system of Gangyeongdogam, the first Buddhist text translation agency, we confirmed what we should aim for in real translation. As Chinese characters occupied the vacancy of our written language, the process of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is also the history of Korean translation. A new retranslation can be a solution through review of existing translations. Four things about its attitude were present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