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장병이 인식한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연구: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by Naval Personnel: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s of Interactional Justice
- 5
본 연구에서는 해군 전투함정에서 근무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장병들을 대상으로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직과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군 조직에서도 군 조직구성원의 화학적 융합의 일체감과 소속감, 진정성 있는 충성심을 통해 행동을 일체화시키고 조직의 안정성을 지지하는 조직문화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선행연구는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또한, 공정성과 가치를 중요시하는 밀레니얼 세대 해군장병들의 지각과 태도 변화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서 정서적몰입을 매개변수로, 상호작용 공정성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 및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는 조직관리 및 혁신 차원에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가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과 연구목적을 가지고 군 조직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문화의 유형 중 집단문화와 위계문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조직문화(집단/위계)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몰입은 조직문화(집단/위계)와 조직시민행동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정서적 몰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셋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조직문화(집단/위계)와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장병(장교, 부사관, 병)들은 상호작용 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조직문화와 정서적 몰입 간에는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과 실무적인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결론에서는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언급하였다.
Like general public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have emerged as important issu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innovation in military organizations. However, an insufficient number of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is subject.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group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among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organizations. First,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group/hierarchy) had a positive effect on OCB. Second, affectiv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group/hierarchy) and OCB.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OCB, but also indirect effect through affective commitment. Third,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group/hierarchy) and affective commitment. This study presen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concludes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