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필라테스 수업참여 대학생들의 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ference Measurement Scale of Pilates Teaching Style for Undergraduates with Using Blended Learning and It’s Validation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필라테스 수업참여 대학생들의 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를 개발 한 후, 인구 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교수유형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예비조사 연구 참여자는 서 울, 경기 소재의 S1, S2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필라테스 수업참여 대학생 121명을 표본집단으로 선정 하였다. 본 조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인천 소재의 6개 S1, S2, D, K, M, Y 대학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31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평가 방법 중 선행연구 분석 및 문헌고찰 방법, 전문가와의 토의 및 평가, 반성적 주관성, 다각적 분석을 사용하였다. 양적 연 구결과의타당성과신뢰성을검증하기위하여확인적요인분석과 탐색적요인분석,개념신뢰도(CR)분석과평균 분산추출(AVE)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여 인구 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라 교수유형 선호도 차이검증을 하였다. 이 연구문제에 도출된 근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주화 분 석을 통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필라테스 교수유형 선호도 요인 1차 영역에서는 총 79개의 교수유형 선호도 요인으로 범주화되었다. 범주화 분석을 통한 교수유형 선호도 2차 영역에서는 총 17개의 2차 영역 블렌디드 러 닝 필라테스 교수유형 선호도 요인이 범주화되었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필라테스 교수유형 선호도 측 정척도 최종문항은 7개 요인의 22문항이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필라테스 수업 참여 대학생들의 전공계열에 따른 교수유형 선호도 차이는 2개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소속 대학 별 교수유형 선호도의 차이에서는 1개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척도를 활 용하여 후속연구에서 다양한 집단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욱 가치있는 연 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 측정척도를 다차원적이고 입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질적, 양적 연구를 더 정밀 하게 수행한다면 필라테스 교육의 후속 연구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Blended learning Pilates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actors after developing a preference measurement scale of Pilates teaching style using qualitative of quantitative combined research method on university students in Pilates class. Quant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121 Undergraduates of S1, S2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ounggi were selected as the sample group of pilot-test. For subjects of the real-test, 317 students in 6(S1, S2, D, M, K, Y) Universities were selected by same a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First, primary area of preference of Blended Learning Pilates teaching style factor was classified into total 79 factors and secondary area was classified into total 17 scales. Secondly, total 22 final questions of the teaching style measurement scale for 7 factors were deduced a 3 or 4 questions customized compliment-encouragement confidence. Thirdly,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 of the Pilates teaching style with Blended learning according to grad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igital information skillful using type and skillful type in using feedback.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 of Pilates teaching style with Blended learning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Univers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igital information skillful using typ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