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학습 지속을 위한 동기부여 콘텐츠 설계 전략 연구: 콘텐츠 구독형 초등영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Study on Motivational Contents Design Strategies for Continuous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Focused on Contents Subscription-based English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 29
학습동기는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 그리고 학습 지속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서 학습자에게 온전한 자율성을 부여하는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더욱더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특히,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가 존재하지 않는 개인학습 유형의 스마트러닝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심리적 고립감이 더욱 강화되고 이는 학습동기를 저해해 궁극적으로 학습이탈 및 중단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성인에 비해 낮은 저연령 학습자들에게 더욱 심각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스마트러닝을 이용하는 초등학생 학습자들이 지속적인 학습동기를 유지하는 것은 성공적인 학업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온라인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과거에도 이루어졌지만, 주로 대학의 사이버강의 또는 기업 이러닝을 수강하는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들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대다수의 동기처방의 방안은 멘토 또는 튜터와 같은 사람의 개입을 제안하거나, 고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개발을 대안으로 제기해 스마트러닝 프로그램 개발 현장에 범용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면대면 교실수업과는 다른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초등학생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람의 개입이 최소화된 시스템-학습자 상호작용을 통한 동기부여 콘텐츠 설계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동기부여 콘텐츠란 교수자나 튜터와 같은 사람의 개입이 없이 시스템적으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 및 유지시키기 위한 메시지와 기능을 일컫는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개발연구(Richey & Klein, 2012) 방법 중 모형 연구 방법론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기 설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일반적인 학습동기 및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특징과 관련된 선행문헌을 검토하고, 콘텐츠 구독형 영어학습앱 중 성공적으로 동기부여 콘텐츠를 운영하는 사례분석과 현재 상용 중인 초등영어 프로그램 6가지의 사례분석을 수행해 설계 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설계 전략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2회에 걸친 전문가 검토 및 실무자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5가지 주요 동기요인과 10개 전략 및 24개의 상세지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학습 지속을 위한 동기부여 콘텐츠 설계 전략은 주요 학습동기 요인 5가지, ‘자율성’, ‘과제흥미’, ‘성공의 기대감’, ‘자기효능감’, ‘성취의 재미’ 요인을 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 종합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지향하되, 학습 단계에 따라 특정 동기요인을 강조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즉, 학습의 초기 설정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자율성’, ‘과제흥미’, ‘성공의 기대감’과 관련된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 진행 중에는 ‘자기효능감’과 ‘성취의 재미’를 더욱 강조해 학습의 진행 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동기 요인들이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 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최종 동기부여 콘텐츠 설계 전략과 전략의 구체화 방안으로 제시된 번 슈미트(Bernd H. Schmitt)의 ‘최적의 경험’ 구현 방법을 초등학생 대상의 디지털 영어 도서관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목업(mock-up) 유저 시나리오를 개발...
Learning motivation is a decisive factor influencing learning immers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ntinuation of learning, and its importance is highlighted more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that gives learners complete autonomy. In particular, in an individual learning type where there is no instructor nor fellow learners and learners have to continue studying themselves as subscribing to educational contents, the learner"s sense of psychological isolation could be easily strengthened, which impedes learning motivation and ultimately this causes side effects such as deviating from learning. This problem occurs more seriously in young learners whos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lower than that of adults, so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more emphasized. Althoug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low learning motivation in smart-learning environment,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or corporate e-learning. Moreover, a majority of the past studies suggested the intervention of a person, such as a tutor, as a method of motivational prescription. If not suggesting human intervention, many researches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based on advanced technology as an alterna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rategies for designing motivational contents through system-learning interaction, based on understanding of major traits of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Motivational contents defined in this study indicate messages and functions that can systematically stimulate and maintai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without intervention of humans. Its purpose is to support learners to continue learning despite psychologically isolated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design‧development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model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Richey & Klein, 2012). In order to derive the initial design strategy,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learning motivation, case analysis of English learning apps, and case analysis of 6 different contents subscription-type of elementary English learning programs currently in use.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trategies, twice of the expert reviews and practical usability evaluations were conducted. Finally, 5 main motivating factors, 10 strategies, and 24 detailed instructions were developed. The motivational contents design strategy for continuation of learning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aims for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of five major learning motivational factors - autonomy, task interest, expectation of success, self-efficacy, and fun of achievement - throughout the entire learning process, however, the strategy emphasizes specific motivational factors based on each different learning stage. For example, in the initial stage of learning, motivation strategies that enhancing autonomy, task interest, and expectation of success are exercised, and self-efficacy and fun of achievement are emphasized mor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In addition to the final design strategy, this study proposes implementation tactics composed of sensory,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al experience factors in order to realize the concreteness of the strategy. At the end of the study, a mock-up user scenario was developed as applying the final design strategy unto a digital English read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terms of developing a smart lear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ly,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that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developed for a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can be equally applied to an e-learning env...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