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및 복합 외상 유형에 따른 PTSD의 증상 구조
The symptom structure of PTSD in simple and complex trauma type groups
- 한국심리학회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0(3)
-
2011.09869 - 887 (19 pages)
- 0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외상적 사건들을 단순 외상과 복합 외상 유형으로 구분하여 한국 성인집단에서 각각의 외상 유형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증상구조는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외상 체크리스트와 PTSD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외상 후 진단척도를 실시하여 생애 중 외상 경험이 있는 경우 연구 집단으로 포함하였다. 연구 집단은 경험한 외상적 사건의 유형에 따라 단순 외상 집단과 복합 외상 집단으로 하위 집단을 나누었으며 이들 중 단순 외상 집단은 428명, 복합외상 집단은 20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PTSD 증상구조 모형은 DSM-IV의 재경험, 회피 및 정서적 마비, 과각성의 3요인을 기본으로 하는 2개의 모형과 경험적으로 타당성이 보고된 4요인 모형 3개로 총 5개의 모형이다. 다섯 개의 PTSD 증상 모형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단순 외상 집단과 복합 외상 집단에서 동일하게 DSM-IV의 PTSD증상 모형보다는 재경험, 회피, 정서적 마비, 과각성의 4개의 하위 증상이 상호작용하는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PTSD 증상구조에 대한 이해와 함의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in simple and complex trauma. Sample consisted of 428 simple trauma group and 207 complex trauma group in Korean adults aged over 18 who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traumatic event in their life time. We assessed their PTSD symptoms using Posttrauma Diagnostic Scale (PDS), and tested five models consisting of PTSD symptom factors based on the DSM-IV criteria as well as those from the previous studi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on each of the five models of the PTSD symptoms. Among the five models, the four factor intercorrelated model with re-experiencing, avoidance, emotional numbing and hyperarousal factors provided the best fit in both simple and complex trauma groups. Result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is finding.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