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강원도의 지하수 현황: 가뭄대비 과제와 전망

Groundwater resources in Gangwon Province: Tasks and perspectives responding to droughts

  • 2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발생한 우리나라 중부지방 및 강원도의 가뭄으로 큰 고통을 겪고 있다.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이런 가뭄은 더욱 빈발하며 강도도 더 세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가뭄저감대책으로 중앙과 지방정부는 다양한 방안을내놓고 있으며 지하수 신규개발, 지하댐, 인공함양 등도 제시되고 있다. 일반론으로서 이들의 적용성과 효과는타당하지만 보다 효과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되기 위해서는 강원도와 같이 지질학적, 수리지질학 및 지리적특성이 다른 곳은 지역에 특화된 검토가 필요하다. 또 지하수자원의 지속적 이용과 관리를 위한 상시 예산과 지방정부차원의 전담조직도 필요하다. 미증유의 대가뭄을 겪고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는 주 역사상 처음으로 지속가능지하수관리법의 제정을 통해 지방정부에게 지하수관리 예산과 권한을 부여하고 또 전담조직을 신설토록하였다. 한편 기후변화시대에 지속가능사회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수자원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국민들의 물에대한 인식전환을 통해 물절약을 생활화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Korea is suffering from a severe drought in its central region, particularly in Gangwon Province. Global climate change will cause more frequent and worse drought conditions. Accordingly, the national government has proposed new water management plans that include the construction of subsurface dams and artificial recharge systems, as measures to prepare for and mitigate the depletion of water resources. We discuss whether the technology implementation meets the unique geology, hydrogeology, and geography of Gangwon Province. For the management plans to be sustainable in the long term, local governments must possess the authority to run permanent organizations dedicated to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rather than temporary organizations formed only for drought seasons. Recently, the State of California, USA which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drought enacted landmark legislation called the Sustainable Groundwater Management Act. This legislation gives budget and management authority related to the water resources to local governments with the role of the State being limited. While government-level measures are imperative to secure water resources, the role of household practice to conserve water becomes more paramount in a sustainable society with the climate ever changing.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