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기상청 광대역 관측소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standard background noise model for broadband seismic stations of KMA

  • 0
커버이미지 없음

지진계에 기록되는 배경잡음은 양질의 지진 신호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주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자료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보다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배경잡음은 주위 환경과 지반에 따라서 주파수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배경잡음의 특성 분석은 지진 관측소에서 관측된 자료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는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13개 광대역 관측소의 2007년 1월 ~ 2008년 6월까지의 배경잡음 자료를 분석하여 기상청 광대역 관측소 표준 배경잡음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McNamara & Buland (2004)의 방법을 사용하여 배경잡음을 분석하였다. 오랜 기간 기록된 연속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지진 관측소의 배경잡음 특성을 잘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모델은 미국지질조사소에서 개발한 새로운 고 잡음 모델(New High Noise Model, NHNM)과 새로운 저 잡음 모델(New Low Noise Model, NLNM)이라 불리는 배경잡음 모델과 유사한 수준을 보여주었지만, 2차 맥동 피크(secondary-microseism peak) 부분이 좀 더 고주파수 대역에서 나타났다.

The background noise recorded by seismometers is one of the major elements that possibly hinders from acquiring good signals, necessitating adequate studies to improve the data quality. Considering that the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s of such seismic background noise depends upon ground environment of the station, the analysis of background noise specifics can be utilized as a tool of quality evaluation of the observed seismic data.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el of standard background noise for the broadband seismic station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using a continuous data set obtained by 13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7 to June 2008. In this study, the method of McNamara and Buland (2004) is used for analyzing background noise. On account of utilizing continuous data for the prolonged period in this study, it was able to characterize the background noise of the seismic stations. Our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shows quite similar noise levels to the reference noise model constructed by U. S. Geological Survey (USGS), however the secondary-microseism peak seems to be shifted to the higher frequency band than that of USGS model.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