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북극권 카라해 세인트 안나 트러프의 후기 제4기 고환경 연구

Late Quaternary paleoenvironment of the Saint Anna Trough, Kara Sea in the Arctic

  • 0
커버이미지 없음

한-러 북극해 국제공동연구의 일환으로 2001년 9월 러시아 북극권 카라해의 세인트 안나 트러프(Saint Anna Trough; SAT)에서 채취된 3개의 중력시추퇴적물을 이용하여 고해양학적 복원을 시도하였다. 획득된 시추퇴적물에 대하여 육안관찰과 연 X-선 사진을 통해 퇴적상을 구분하고, 함수율, 대자율, 총유기물 함량, 질소 및 황의 함량과 입도 분포를 조사하였다. 구성 광물 종류와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전암과 점토 시료에 대해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퇴적물 기원지 연구를 위하여 미량원소와 희토류 원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2개의 시추퇴적물의 하부에 내부구조가 없는 암회색의 다이아믹톤(diamicton)이 나타나는데, 이 퇴적상은 마지막 최대 빙하기(Last Glacial Maximum; LGM)동안 빙하의 움직임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시추퇴적물의 광물 및 화학 조성으로부터 마지막 빙하기와 간빙기 사이에 기원지 암석에 뚜렷한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퇴적물 내의 유기물도 빙하기에는 주로 육성기원이었으나 간빙기에는 주로 해성기원으로 변화가 일어났다. 2개 코아의 다이아믹톤 퇴적상은 광물조성과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 함량에 차이가 있어 서로 다른 기원지에서 유래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LGM 시기 동안 SAT로 합쳐지는 둘 이상의 퇴적물 운반 경로가 있었음을 지시한다.

Three gravity core samples obtained from the Saint Anna Trough, Russian Arctic Kara Sea in September 2001 were analyzed for the paleoceanographic reconstruction. Sedimentary facies were identified with the aid of X-radiography. Water content, magnetic susceptibility,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nd sulfur content, and grain size distribution were analyzed. For the identification of mineral composition X-ray diffraction analysis for bulk and clay-size fraction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change in sedimentary provenance, trace and rare earth elemen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Dark gray massive diamicton facies were observed in the lower part of cores from two locations. They were interpreted to be glaciogenic diamicton deposited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in the Saint Anna Trough. Mineral composition and trace and rare earth element concentrations of these two cores suggest that there was a change in sediment provenance between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Type of organic matter had also changed from dominantly terrestrial to marine origin during this period. Diamicton faices observed in the two cores differ in the mineral composition and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and it was interpreted to reflect different sedimentary provenance. It implies that there had been more than two sediment-transporting paths flowing into the Saint Anna Trough.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