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고대 한국인의 중국 내 사원, 불상 조성과 중국 불교문화와의 관계 - 삼국∼통일신라시대를 중심으로-

Relation Between Construction of Temple and Buddhist sculpture by Ancient Korean in China and Chinese Buddhist Culture - Centring Around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To The Unified Shilla -

  • 0
커버이미지 없음

고대 한국인의 중국 내 불사활동에 대해서 감숙, 섬서, 하남, 산서지역에 현존하는 사원, 석굴, 조상비, 불감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우선 감숙지역에는 509년 경천현에 지방관으로 재직하였던 고승신 이하 고구려 후예들이 중심이 되어 건립한 숭현선사에 대해 살펴 보았다. 사원과 비석은 이미 현존하지 않으나 문헌기록을 통해 당시 장군부에서 활약한 고구려 후예와 현지에 거주한 소수민족 지방관들이 숭현선사를 건립하였다. 섬서지역에는 535년 개착된 의군현 복지석굴, 북위 후기로 편년되는 황릉현 향방석굴, 황릉현 548년명 조상비, 임동구 발견 남북조시기 조상비가 있다. 이 석굴들과 조상비에서는 공양자들의 성명 중 성씨를 기준으로 고구려인들이 참여하여 조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석굴들과 조상비는 남북조시대 섬서지역 불교조각상 양식을 파악하는데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당시 이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된 기타 소수민족의 생활양상과 종교활동 내역을 파악하는데에도 아주 중요한 자료들로 여겨진다. 하남지역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인들이 용문석굴에 개착한 석굴과 불감에 대해 살펴 보았다. 북위대에는 당시 정권을 장악한 고구려 후예 세력과 이와 관련있는 인물들이 빈양남동과 고양동 내부에 많은 불감들을 조성하였다. 북위대 이들은 낙양지역에 새로운 불교조각 양식을 형성하는데에 큰 기여를 하였다. 당대 용문석굴에는 고구려, 백제에서 중국 낙양으로 강제 이송된 귀족들이 용문석굴에 조성한 불감들이 확인되었다. 또한 통일신라의 승려 자장이 만든 불상과 신라상감의 석굴도 현존한다. 당대 고구려, 백제, 신라인들은 당시 낙양지역의 불상양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었다. 산서지역에서는 천룡산 제15굴이 백제 흑치상지 딸과 그의 남편 물부순장군의 공덕으로 조성되었다. 이는 최근에 중국 학자에 의해 밝혀진 사실로 필자는 현존하는 공덕비 내용의 분석을 통해 이 내용을 다시 한번 더 확인하였다. 또한 필자는 물부순장군이 천룡산에 석굴을 개착하게 된 이유에 대해 그가 당시 태원에서 장군직을 역임하고 있을 당시 석굴을 개착하였다는 내용도 밝혔다. 남북조시대 중국 내에서 불사활동을 적극적으로 진행한 한국인은 고구려인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그들은 결혼동맹 혹은 강제이주를 통해 현지에서 정착하여 고구려 문화를 계속 유지하면서 살아 가고 있었다. 당시 귀족, 평민이 모두 불사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기타 다른 소수민족과 함께 불사활동을 진행한 예도 많았다. 당대에는 고구려, 백제의 멸망을 통한 강제 이송을 통해 중국에서 거주하게 되었으며 불사활동에 참여한 신분은 대부분 귀족계층이었다. 결국 고대 한국인은 중국 내에서 중국 불교문화를 답습하기도 하고 때로는 새로운 문화도 창출하기도 하였다.

I studied about Buddhism activities of ancient Koreans, as centering around temples, caves, Buddha steles, grottoes which are existed, in China especially in Gan-su province(甘肅省), Shan-xi province(陝西省), He-nan province(河南省), Shan-xi province(山西省). First of all, I looked into Chongxuan temple(嵩顯禪寺) which was established by Ko Seung□(高乘□) who was local official at Jingchuanxian(涇川縣) in 509 and Koygurou(高句麗) descendants. Temples and stone steles aren"t existed anymore, but through literature record, we can notice that Koygurou descendant who played an active part as local official and local officials of a minority race who inhabited local place established this temple. There are Yijunxian(宜君縣) Fudi cave(福地石窟) which was excavated in 535, Huanglingxian(黃陵縣) Xiangfang cave(香坊石窟) which was dated the latter period, Buddha stele which was inscribed as 548 in Huanglingxian(黃陵縣) and Buddha stele of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Lindongqu(臨潼區) in Shan-xi province(陝西省). I judged that these caves and Buddha steles were constructed by Koguryo people through their family names of people who gave alms to that temple. These caves and Buddha steles took very important part for grasping the style of Buddhist sculpture in Shan-xi province(陝西省) during North and South dynasties. Furthermore, there are also consequence for understanding living conditions of a minority race and religious activities that were distributed intensively this area. In He-nan province(河南省), I looked into caves and grottoes in Longmen caves(龍門石窟) that were excavated by people of Koguryo(高句麗), Pakche(百濟) and Shilla(신라). During North Wei dynasty, Koygurou descendants and their relation influences who holded real power constructed many grottoes inside Binyangnandong(貧陽南洞) and Guyangdong(古陽洞). They also contributed to form new Buddhist sculpture style in Luoyang area(洛陽). It was identified that nobles who were transferred by force from Koguryo and Pakche to Luoyang area constructed grottoes at Longmen caves in Tang dynasty. Buddhist sculpture and Cave which was constructed by Jajang(慈藏) fom the Unified Shilla Dynasty(統一新羅) are still existed. Shilla people followed intact Buddhist sculpture style like Luoyang area. In Shan-xi province(山西省), Heuk-chi-sang-ji(黑齒常之)‘s daughter and her husband of Pakche constructed the 15th Tianlongshan cave(天龍山石窟). One chinese scholar found out this fact recently, and I made it clear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stele contents. I clarified that Tianlongshan cave was excavated while her husband serviced as general in Taiyuan(太原) and the reason why they excavated it. For North and South dynasties, Korean who progressed Buddhist activities aggressively in China were Koygurou people by an absolute majority. They settled down local place by marriage alliance or deportation and kept culture of Koygurou. In those days, both nobles and common people participated in Buddhist activities, and there were many examples about the progresses of Buddhist rituals with the other a minority race. For Tang dynasty, many Koygurou and Pakche people inhabited in China by deportation, because of the falls of their nations. Therefore the social position who participated in Buddhist activities were mostly nobles. Finally ancient Korean sometimes followed chinese buddhist culture or sometimes created new buddhist cultur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