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스페이스 마케팅의 상호작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인을 적용한 식음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and-beverage space design by applying the factors of ‘interaction’ and ‘brand identity’ in space marketing

  • 0
커버이미지 없음

오늘날 공간 자체가 하나의 소비생활을 유도하는 주체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외식산업에서의 스페이스 마케팅은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영향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의 결과-재무적 성과는 상호작용요인과 비재무적 성과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인과 가장 높은 유의적 상관성을 가짐-인 상호작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인을 분석의 틀로 하여, 식음공간에서의 공간연출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식음공간에서 스페이스마케팅의 재무적 관계항으로서의 직·간접적 상호작용요인은 체험적 브랜드 콘텐츠를 중심으로 다양한 구축수단으로의 매체를 수용하며 차별화된 사건구성의 전개를 통해 소통하며, 비재무적 관계항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인은 온·오프라인에서 일관된 구축도구로서 융합되어 전체론적 인지시각체계로 전개되어지며 유기적인 공간구성의 맥락성을 중심으로 통합_연출되어 진다.

Today, space is the subject itself inducing consumption lives, and its importance is being illuminated. So, space marketing in the restaurant industry has been attracted a lot of interests as a part of managerial strategy.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the features of spatial styling in food-and-beverage spa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financial performance is correlated most significantly with interactive factor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rand identity factors-.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ve factors as correlation constants accept various medium as establishing means mainly by experiential brand contents and communicate by differentiated event formations. Brand identity factors as non-financial correlation constants are integrated as a consistent establishing tool, being developed toward general visual perception system, and stylized largely on connection of intimately organized spatial formation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