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연관된 폐렴의 흉부 고해상전산화단층촬영(HRCT) 소견을 보통의 지역사회 획득 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 이하 CAP)과 비교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영상소견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영상소견에서 예후 예측인자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9년 9월부터 2010년 1월까지 H1N1 감염으로 진단받고 흉부 HRCT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던 31명(남:여 = 16:15, 평균 연령 42세)과 연령대와 성별을 적합시킨 CAP 환자 31명의 영상소견을 비교 분석했다. 결과: H1N1 연관 폐렴과 CAP의 흉부 HRCT소견은 주로 폐경화, 젖빛 유리음영과 경화의 혼재, 또는 젖빛 유리음영 순이었으며, 두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H1N1 감염 환자는 CAP 환자와 비교해 주로 양측성, 다엽성, 다분절성 폐 침윤을 보였다(p < 0.05). 폐침윤 내에 저음영 또는 공기음영이나 림프절 종대는 CAP환자에서만 보였다(p < 0.05). H1N1 감염 환자 중 8명은 기계적 호흡이 필요했던 중증도 폐렴이었고, 이들 모두에서 병변은 양측성(p=0.015), 다엽성, 다분절성 침범을 보였다. 결론: H1N1 인플루엔자 연관 폐렴의 HRCT 소견은 폐경화, 젖빛 유리음영과 경화의 혼재, 또는 젖빛 유리음영 등으로 나타나며, CAP와 비교했을 때 양측성, 다엽성 또는 다분절성의 침윤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양측성 폐 병변은 질환의 중증도를 시사했다.
Purpos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findings of patients with H1N1 influenza-associated pneumonia compared usual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CAP),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any useful common HRCT findings predicting their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HRCT findings of 31 patients (M:F = 16:15, mean age 42 yrs) with Influenza A (H1N1) infect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abnormal HRCT findings and compared to HRCT findings of CAP in matched patients. Patients were matched according to age and sex, from 2009 to January 2010. Results: The predominant HRCT findings of pneumonia consisted of areas of consolidation and/or groundglass opacity (GGO)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However, the abnormalities of H1N1-related pneumonia showed higher bilaterality and multilobar or multisegmental involvement compared with CAP (p < 0.05). Internal low attenuation or air-densities in pulmonary infiltration /or lymphadenopathy was observed only in patients with CAP (p < 0.05). HRCT findings in 8 patients with poor clinical outcome had bilaterality (p=0.015), multilobar, and multisegmental involvement. Conclusion: The predominant HRCT findings of H1N1-related pneumonia were areas of consolidation and/or GGO. In addition, H1N1-related pneumonia showed higher bilaterality or multilobar/multisegmental involvement compared with CAP. The patients who presented bilaterality had a worse clinical outcom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