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다발성 경화증에서 정상으로 보이는 백질 손상의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한 평가

Assessment of Normal-Appearing White Matter Damage in Multiple Sclerosis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 0
커버이미지 없음

목적: 다발성경화증 환자에서 정상으로 보이는 백질 섬유의 손상을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6명의 다발성경화증 환자와 14명의 대조 군의 확산텐서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군의 고식적 자기공명영상에서 정상으로 보이는 백질 섬유로, 즉 뇌량의 슬부와 팽대부, 피질 척수로의 내포, 대뇌각, 교뇌부위의 분할비등방도(fractional anisotropy, FA)를 측정하였다. 또한, 양측의 전방, 후방, 방사관, 천막상부의 병변 부하를 측정하였다. 환자 군의 백질 섬유로의 FA 값을 대조 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각 관심영역의 평균 FA 값과 병변 부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결과: 환자 군의 백질 섬유로의 평균 FA 값은 대조 군에 비해 뇌량(p < 0.0001), 내포(p=0.03), 대뇌각(p=0.02)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뇌량 슬부의 평균 FA 값과 상응하는 전방 백질의 병변 부하와 팽대부의 평균 FA 값과 상응하는 후방 백질의 병변부하 사이에는 중등도의 음적 상관관계가 있었다(슬부 r=-0.40, p=0.02; 팽대부 r=-0.63, p=0.01). 피질척수로의 FA 값과 상응하는 병변 부하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다발성경화증 환자의 정상으로 보이는 백질 섬유로의 FA 값이 정상 대조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이 중 뇌량의 FA 값은 병변 부하량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피질척수로의 FA 값과 병변 부하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발성경화증 환자의 정상으로 보이는 백질섬유로의 손상은 월러 변성뿐만이 아니라 여러 복합적인 병적 기전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determine any evidence of damage in normal-appearing white matter (NAWM) tracts in multiple sclerosis (MS) cases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nisotropy maps derived from DTI studies performed in 16 MS patients and 14 normal controls. Fractional anisotropy (FA) was measured in NAWM tracts: in the genu and splenium of the corpus callosum and at three points along the corticospinal tracts (internal capsule, cerebral peduncle, and pons). In addition, we performed lesion loads using the manual tracing method in the anterior, posterior, corona radiata, and supratentorial of each side. A FA in NAWM tracts was compared between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using the Student t-test. The FA values and lesion load were compared by performing a Spearman rank correlation. Results: The mean FA values were lower in patients than the controls for the combined genu and splenium (p<0.0001), internal capsule (p=0.03), and cerebral peduncle (p=0.02). Moderate invers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corpus callosum and the connecting lesion loads (r = -0.40, p = 0.02 for the genu and r= -0.63, p = 0.01 for the splenium).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FA of the corticospinal tracts and any of the lesion load measurements. Conclusion: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FA values when comparing NAWM tracts from patients with MS those in the normal control group. However, only those in the corpus callosum corresponded with plaque burden. NAWM tract deterioration in the corpus callosum and the corticospinal tracts are likely attributed to several concerted pathologic mechanisms as well as Wallerian degenerat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