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1,024 매트릭스 영상재건: 고해상 흉부CT에 대한 유용성

1024 Matrix Image Reconstruction: Usefulness in High Resolution chest CT

  • 0
커버이미지 없음

목적: 고해상 흉부CT에 있어 고화소(1,024×1,024 픽셀 매트릭스) 횡단면 영상이 기존(512x512 픽셀 매트릭스) 영상과 비교하여 유의한 장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024 매트릭스 재건이 지원되는 장비로 고해상 흉부CT를 시행 받은 26명의 환자들로부터 512 매트릭스와 1,024 매트릭스, 그리고 0.625 mm 두께와 1.25 mm 두께로 조합된 네 가지 세트를 각각 재건하였다. 폐기종과 같은 둥글고 경계가 불분명한 저음영 병소 24곳, 선형섬유화와 같은 선형의 경계가 명확한 고음영 병소 46곳으로 총 70곳의 병소를 선택하여 5메가 픽셀 LCD 모니터에서 전시하였다. 모든 영상은 매트릭스 크기나 절편 두께에 대한 정보를 제거하였으며, 세트의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다. 두 명의 흉부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각 영상에서 표기된 병소를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5단계로 분류하였다: (1) 보이지 않음, (2) 거의 보이지 않음, (3) 어느 정도 보임, (4) 잘 보임, (5) 아주 잘 보임. 각 병소에 대해 평가한 결과를 512 대 1024 매트릭스, 0.625 mm 대 1.25 mm 두께의 2×2 조합에 대해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test)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병변을 평가한 평균과 표준편차는 0.625 mm 두께×512 매트릭스에 대하여 3.09(±.92), 0.625 mm 두께×1024 매트릭스에 대하여 3.16(± .84), 1.25 mm 두께×512 매트릭스에 대하여 2.49(±1.02), 1.25 mm 두께×1024 매트릭스에 대하여 2.35(±1.02)였다. 영상 두께에 따른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나(p < 0.001), 매트릭스 크기에 따라서는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678). 두 명의 관찰자간 상이도(interobserver variation)는 유의하지 않았다(p =0.691). 결론: 고해상 흉부CT를 목적으로 한 1,024 매트릭스 재건 영상은 임상적으로 이득이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tried to evaluate whether high resolution chest CT with a 1,024 matrix has a significant advantage in image quality compared to a 512 matrix. Materials and Methods: Each set of 512 and 1024 matrix high resolution chest CT scans with both 0.625 mm and 1.25mm slice thickness were obtained from 26 patients. Seventy locations that contained twenty-four low density lesions without sharp boundary such as emphysema, and forty-six sharp linear densities such as linear fibrosis were selected; these were randomly displayed on a five mega pixel LCD monitor. All the images were masked for information concerning the matrix size and slice thickness. Two chest radiologists scored the image quality of each arrowed lesion as follows: (1) undistinguishable, (2) poorly distinguishable, (3) fairly distinguishable, (4) well visible and (5) excellently visible. The scores were compared from the the aspects of matrix size, slice thickness and the different observers by using ANOVA tests. Result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image quality were 3.09 (±.92) for the 0.625 mm×512 matrix, 3.16 (±.84) for the 0.625 mm×1024 matrix, 2.49 (±1.02) for the 1.25 mm×512 matrix, and 2.35 (±1.02) for the 1.25 mm×1024 matrix, respectively. The image quality on both matrices of the high resolution chest CT scans with a 0.625 mm slice thicknes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n the 1.25 mm slice thickness (p < 0.001). However, the image quality on the 1024 matrix high resolution chest CT sca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n the 512 matrix high resolution chest CT scans (p = 0.678). The interobserver variation between the two observers was not significant (p = 0.691). Conclusion: We think that 1024 matrix image reconstruction for high resolution chest CT may not be clinically useful.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