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정상 토끼 간에서 고주파열치료 병변 명확도의 시기별, MR 영상 기법간의 비교

Comparison of Lesion Conspicuity of Radiofrequency Ablation Zones among MR Sequences According to Time in the Normal Rabbit Liver

  • 0
커버이미지 없음

목적: 정상 토끼 간의 고주파열치료 병변에서 시기별, MR 영상 기법 간의 병변 명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토끼 12마리에 내부냉각형 침(17 G, 1 cm 노출단, 30와트, 3분)을 이용하여 고주파열치료 병변을 만들었다. 시술 직후(초급성), 3일 후(급성), 2주 후(아급성), 6주(만성) 후에 각각 3마리 토끼를 희생하였다. 희생 전에 T1, T2-강조영상,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을 얻었다. 고주파열치료 병변 명확도와 병변과 정상간실질의 신호대잡음비를 분석하고 시기별, MR 영상 기법 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T1-강조영상에서 고주파열치료 병변은 급성기에서만 명확하게 보였다. T2-강조영상에서는 병변은 초급성기를 제외한 모든 시기에서 명확하게 보였다.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에서 병변은 전 시기에 걸쳐 명확하게 보였다. 고주파열치료 병변과 정상간실질의 신호 대잡음비는 전시기에 걸쳐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8.1-12.4)이 T1-강조영상(1.6-2.7)과 T2-강조영상(1.7-6.3)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 < 0.05) T2-강조영상과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의 육안적인 병변 명확도는 비슷하였다. 결론: 초급성기에는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이 T1, T2-강조영상보다 좋은 병변 명확도를 보였고 그 외 시기는 조영증강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과 T2-강조영상이 비슷한 병변 명확도를 보였다.

Purpose: To compare the lesion conspicuity of radiofrequency ablation (RFA) zones among MR sequences according to time in the normal rabbit liver. Materials and Methods: RFA zones were created in 12 rabbit livers with a 17-gauge internally cooled electrode (1-cm active tip, 30 Watts, 3 minutes). Three rabbits were sacrificed immediately, three days, two weeks, and six weeks after the RFA procedure, respectively. Before sacrifice, T1-, T2-weighted images (WI), and gadolinium-enhanced (GE)-T1WI images were obtained. The lesion conspicuity of the RFA zone and the contrast-tonoise ratio (CNR) of the RFA zone to the liver parenchyma were analyzed and compared among the MR sequences according to time. Results: On T1WI, the RFA zones were only clearly seen on acute phase. On T2WI, the RFA zones were clearly seen on all phases except the hyperacute phase. On GE T1WI, the RFA zones were clearly seen on all phases. The CNRs of the RFA zone to the liver parenchyma of GE-T1WI (8.1-12.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NRs of TIWI (1.6-2.7) and T2WI (1.7-6.3) on all phases (p < 0.05), but the visual lesion conspicuity between GE T1WI and T2WI were similar. Conclusion: On hyperacute phase, GE T1WI showed better lesion conspicuity of the RFA zone than T1WI and T2WI. On other phases, GE T1WI and T2WI showed similar lesion conspicuit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