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추골기저동맥 박리의 진단에서 MDCT 혈관조영술의 유용성과 그 영상소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임상증상 및 MDCT 혈관조영술(MDCTA) 소견상 추골기저동맥 박리가 의심되어 DSA를 시행한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DCTA 상 추골기저동맥 박리의 진단은 2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다른 정보 없이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진단하였고 내막 박리(intimal flap)를 직접 관찰한 경우, 혈관 직경이 갑자기 또는 점진적으로 감소한 경우(abrupt or tapered narrowing), 동맥류성 확장(aneurysmal dilatation)이 보이는 경우, 확장된 부분과 좁아진 부분이 번갈아 보이는 경우(alternatively dilated and narrowed lumen)에 근거하였다. 두 명의 관찰자 사이의 영상진단의 신뢰도 및 일치도를 구하였으며, MDCTA 및 각각의 영상소견의 진단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39명중 MDCTA에서 43예의 추골기저동맥 박리가 진단되었고 관찰자간의 진단의 일치도에 있어서 kappa 값은 0.92였다. 동맥박리의 유형은 박리된 내막을 직접 관찰할 수 있었던 경우가 16예(36%)였으며 갑작스런 또는 점진적인 협착이 16예(36%), 동맥류성 확장이 13예(30%), 확장과 협착이 번갈아 보인 경우가 14예(32%)였다. DSA 소견, 임상소견, 추적검사 등을 통한 최종 진단 결과와 비교해서 CTA의 추골기저동맥 박리 진단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는 관찰자 1이 91%, 88%, 관찰자 2가 89%, 87%였다. 결론: MDCT를 이용한 CTA는 추골기저동맥 박리의 초기 진단에서 유용한 검사법으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DCT angiography in the diagnosis of vertebrobasilar artery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2003 and December 2005, 39 patients who underwent MDCT angiography a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with a history of suspicious vertebrobasilar artery dissection were selected A blind interpretation of images was made by two observers, retrospectively. A diagnosis of dissection in MDCT angiography was made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presence of an intimal flap, aneurysmal dilatation, abrupt or tapered luminal narrowing, alternatively dilated and narrowed lume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MDCT angiography in depicting vertebrobasilar artery dissection were determined. Results: 43 vertebrobasilar artery dissections were diagnosed by MDCT angiography in 39 patients. The interobserver agreement was good (kappa =0.92). A diagnosis was made by the presence of an intimal flap (n=16, 36%), abrupt or tapered luminal narrowing (n=16, 36%), aneurysmal dilatation (n=13, 30%), alternatively dilated and narrow lumen (n=14, 32%). The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MDCT angiography were 91%, 88% as determined by the first radiologist, and were 89%, 87% as determined by a second radiologist, respectively. Conclusion: MDCT angiography is a useful method for the diagnosis of vertebrobasilar artery dissec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