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간에 전이된 혈관주위세포종: 증례 보고

Metastatic Hemangiopericytoma of the Liver: A Case Report

  • 0
커버이미지 없음

혈관주위세포종은 혈관주위세포에서 발생한 연조직육종으로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잘 발생하는 부위는 하지, 골반, 후복막강, 두경부, 체간 등의 순으로 알려졌다. 외과적 절제에 의한 완치가 가능하나 국소 재발 할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원격 전이는 드물고 폐와 골에 잘 생긴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혈관주위세포종은 전형적이면 주변부부터 조영증강이 차들어오는 혈관 과다종양의 소견을 보인다. 저자들은 좌견부에서 발생 후 간에 전이된 1예의 혈관주위세포종을 경험하였기에 간에 전이된 혈관주위세포종의 영상학적 소견을 기술하고자 한다.

A hemangiopericytoma is a rare soft tissue sarcoma that originates from pericytes. This neoplasm can occur in any part of the body but their frequent sites of origin are reported to be the lower extremities, pelvis, retroperitoneum, head, neck and trunk. A hemangiopericytoma may be curable by a surgical resection but its prognosis is poor when it recurs. Distant metastases rarely occur and the most commonly affected organs are the lung and bone. At CT, a hemangiopericytoma is typically depicted as a hypervascular tumor with a delayed fill-in of contrast enhancement from the periphery. We encountered a case of hemangiopericytoma that metastasized to the liver. We describe the radiological findings of the metastatic hemangiopericytoma of the live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