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경동맥이나 추골동맥의 굴곡이 심한 환자에서 두개강내 혈관 협착에 대한 스텐트를 이용한 혈관성형술시 스텐트 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몇 가지 새로운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8년 5월에서 2004년 6월까지 65명 환자에서 73예의 증상이 있는 동맥경화성 두개강내 혈관 협착에 대해 스텐트를 이용한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표준 기법을 이용하여 62예는 혈관성형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으나 11예에서 내경동맥이나 추골동맥의 심한 굴곡으로 인해 스텐트가 병변까지 진행하지 못하여 혈관성형술을 실패하였다. 표준기법으로 혈관성형술을 실패한 11예를 대상으로 새로운 기법들을 이용하여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새로운 기법들은 1) 미세유도철사를 병변의 원위부에 두고 20-30분 정도 기다리는 대기법(waiting method) 2)유도철사를 하나 더 사용하는 이중 유도철사법(double wires technique) 3)유도도관 내부에 더 작은 유도도관을 하나 더 삽입하는 동축 이중 유도도관법(Coaxial double guiding catheter technique)이었다. 각 병변의 위치는 중뇌동맥이 5예, 내경동맥이 4예, 원위부 추골동맥이 2예였다. 결과: 새로운 기법으로 11예 모두에서 스텐트가 두개강내 병변까지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 11예 중 5예에서 대기법, 4예에서 이중 유도철사법, 2예에서 동축 이중 유도도관법을 사용하였고 이들 기법과 관련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두개강내 혈관 협착에 대한 스텐트를 이용한 혈관성형술에서 사용한 새로운 기법들은 혈관의 굴곡이 심하여 표준기법으로 병변까지 스텐트의 진행이 어려운 경우에 유용한 방법이었다.
Purpose: We wanted to describe several new techniques of intracranial stenting that are helpful for navigating the stent delivery system in the tortuous carotid or vertebral arteri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1998 and June 2004, 65 patients with 73 symptomatic, stenotic intracranial arteries (more than 50%)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stent-assisted angioplasty. In eleven of the total cases, the standard technique failed to navigate the stent delivery system into the objective lesion because of the tortuous path of the carotid or vertebral arteries. In these cases, several new techniques were used to overcome the vessels" tortuous path. The several new techniques were 1) the waiting method (20-30 minutes) after advancement of microwire across the lesion; 2) the double wires technique using an additional microwire; and 3) the coaxial double guiding catheters technique using an additional smaller guiding catheter. Five lesions were located in the middle cerebral arteries, four were in the supraclinoid internal carotid arteries, and two were in the distal vertebral arteries. Results: In all difficult cases, intracranial artery stenting was performed successfully by using the several new techniques. The waiting method made smooth stent navigation possible in 5 cases, the double wire technique was successful in 4 cases and the coaxial double guiding catheter technique was successful in 2 case. There was no complication related to the new techniques. Conclusion: In difficult cases where the standard technique failed to navigate the stent delivery system into the objective lesion because of the vessels" tortuous path, these new techniques for intracranial stent navigation were usefully implement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