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중시기 나선식 CT에서 나타나는 터어키안 및 그 주위 종양의 조영 증강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술로 진단된32명의 터어키안 및 그 주위 종양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막종이 17예, 뇌하수체 거대선종 6예, 신경성 종양 5예, 해면 혈관종, 연골육종, 골육종, 접형동 종양이 각 1예였다. 이중시기 나선식 CT는 초당 3 ml로 90 ml의 조영제를 주입한 후 30초와 120초 후에 조기 및 지연 횡단 영상을 얻었고, 횡단면 영상을 얻은 후 관상면 영상을 얻었다. 종양의 감쇠 변화와 조영 증강 양상을 육안적으로 평가하였고, 조기 횡단 영상에 대한 지연 횡단 및 지연 관상면 영상의 CT수치의 비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육안적 평가에서 조기 횡단 영상에 대한 지연 횡단 영상의 감쇠 변화는 수막종17예 모두 (100%)에서 감소하였고, 뇌하수체 거대선종6예 모두(100%)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신경성 종양 5예 모두(100%)에서 증가하였다. 조기 횡단 영상에 대한 지연 관상면 영상의 감쇠 변화는 수막종 17예 모두(100%)에서 감소하였고, 신경성 종양 5예 모두(100%)에서 증가하였으며, 뇌하수체 거대선종 6예중 4예(66.7%)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막종, 신경성 종양, 뇌하수체 거대선종에서 계산한 CT 수치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결론: 이중시기 나선식 CT에서 터어키안 과 그 주위 종양은 병리에 따라 특징적인 조영 증강양상을 나타냈다. 이중시기 나선식 CT를 이용한 조영 증강 양상의 분석은 이들 종양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enhancement patterns of sellar and parasellar tumors at two-phase helical C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roven sellar and parasellar tumors [meningioma (n=17), pituitary mocroadenoma (n=6), neurogenic tumor (n=5), cavernous angioma (n=1), chondrosarcoma (n=1), osteosarcoma (n=1), sphenoid carcinoma (n=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o-phase helical CT was performed after the injection of 90 mL of contrast material at a rate of 3 mL/sec. Transverse helical CT scans were obtained during the early and late phases, with scanning delays of 30 and 120 seconds, respectively. Delayed coronal images were obtained after delayed axial images. Attenuation change and the enhancement patterns of the tumors were visually assessed; the former was also assessed quantitatively as the ratio of the CT number at late-phase axial and coronal scanning to that at early-phase scanning. Results: Visual assessment of two-phase helical CT images revealed decreased attenuation in all 17 meningiomas, no change in all six pituitary macroadenomas and increased attenuation in 5 all five neurogenic tumors on late-phase axial scans as compared with early phase scans. Coronal images showed decreased attenuation in all 17 meningiomas, increased attenuation in all five neurogenic tumors and no change in four pituitary macroadenomas (66.7%). The ratio of CT numb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eningiomas, neurogenic tumors and pituitary macroadenomas(p<0.05). Conclusion: According to their histopathology, sellar and parasellar tumors showed characteristic enhancement patterns at two-phase helical CT. An analysis of the observed enhancement patterns can be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juxtasellar tumo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