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한국 정상 성인에서 흉부 후전 사진상의 혈관경 너비를 측정하고, 체형별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흉부 사진 판독시 활용할 수 있는 정상 혈관경 너비의 지표를 만들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은 정상 성인 262명(남자 134명, 여자 128명, 나이 범위 22-88세, 평균나이 45.2세)을 대상으로 흉부 후전 사진에서 혈관경 너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혈관경 너비와 신장 및 비만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신장과 흉부 후전 사진상의 흉추 길이, 비만도와 흉부 사진상의 측부 흉벽 두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평균 혈관경의 너비는 47.4(±6.4)mm 이었다. 키가 클수록(p < 0.01), 그리고 비만도가 높을수록(p < 0.01) 혈관경 너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신장과 흉추 길이, 그리고 비만도와 측부 흉벽 두께도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75, r=0.76). 대상 성인을 흉추 길이와 측부 흉벽 두께에 따라 나누어 정상 혈관경 너비의 평균값을 제시한 표를 만들었다. 결론: 흉부 후전 사진에서 신장과 비만도를 반영하는 흉추 길이와 측부 흉벽 두께를 계측하여 표로 제시한 정상 혈관경 너비의 평균값과 비교하면 판독하는 환자의 혈관경 너비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wanted to measure the vascular pedicle width (VPW) in normal Korean adults and correlate the VPW with the body physique and we also wanted to establish the index for normal VPWs, which could be utilized in reading chest PAs. Materials and Methods: The VPW was measured on the posteroanterior (PA) chest radiographs of 262 normal Korean adults (134 men and 128 women, age range: 22-88 years, mean age: 45.2 years), who visited the hospital for a general health exami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PW and the height and the Body Mass Index (BMI) was evaluated. Correlations between height and the thoracic spine length (TSL) and between the BMI and the lateral chest wall thickness (CWT) were analyzed as well. Results: The mean VPW was 47.4 (±6.4) mm. The VPW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ight (p<0.01) and the BMI (p<0.01) of the subject. The patient’s height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TSL, and the BMI was correlated with the CWT (r=0.75, r=0.76). The table for the normal VPWs according to patient’s TSL and CWT was established. Conclusion: By measuring the TSL and the CWT on chest PA, which reflect the height and BMI, respectively, and by utilizing the provided table for the normal VPW, we can determine the normality of a patient’s VPW.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