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진행성 위암의 수술 전 T-병기 결정에 있어서 다검출기 CT를 이용한 다평면재구성 영상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Multiplanar Reconstruction Images in Preoperative T-staging of Advanced Gastric Cancer

  • 0
커버이미지 없음

목적: 수술 전 위암의 T-병기 결정에 있어서 다검출기 CT를 이용한 다평면재구성 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조직 소견상 진행성 위암으로 진단된 65명의 환자(남자 49명, 여자 16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 분포는 29세에서 77세 사이였고 평균 연령은 56.3세였다. 4개의 검출기를 이용한 다검출기 CT(LightSpeed QX/i; GE Medical Systems.)가 사용되었으며 HQ 모드로 2.5 mm의 절편 두께, 1.25 mm의 중첩, 피치 3, 테이블 속도는 회전당 7.5 mm를 사용하였으며 5 mm의 두께로 영상을 재구성하였으며 관상 및 시상의 재구성 영상을 얻었다. 결과: 축상 영상에서 60명의 환자에게서 60개의 병변을 발견하였고 5명에게서 병변을 발견하지 못 하였다. 발견하지 못한 병변은 전정부(antrum)의 소만이 2예, 전정부의 대만이 1예, 체부의 대만이 1예, 위각부 1예였다. 축상 영상에서 T2 병기 31예, T3 병기 25예, T4 병기 4예를 진단하였다. 다평면재구성 영상에서는 65명 모두에게서 병변을 발견하였고 T2 병기 21예, T3 병기 38예, T4 병기 6예를 진단하였다. 병리조직 소견상 병변이 가장 흔히 분포하는 곳은 전정부와 체부로 각각 29예, 15예였다. 수술 및 병리 소견을 기준으로 하여 CT병기의 정확도는 축상 영상에서는 69%였으며 다평면재구성 영상에서는 89%로 측정되어 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5). 축상 영상에서 19명에서 실제보다 저병기로 판정되었으며, 저병기로 판정된 병소의 위치는 축상 영상에서 발견하지 못 한 병소의 위치와 마찬가지로 대개 체부와 전정부, 위각부의 대만과 소만에 위치한 경우였다. 과병기로 판정된 것은 1예였다. 다평면재구성 영상에선 2예가 저병기였으며, 과병기로 판정된 것은 5예였다. T-병기의 민감도는 축상 영상에서 T2 병기는 95%, T3 병기는 64%, T4 병기는 80%였으며, 다평면재구성 영상에서는 각각 83%, 92%, 100%였다. 종양의 대망 파종은 축상 영상에서 5명, 다평면재구성 영상에선 9명에게서 보였다. 결론: 다평면재구성 영상은 축상 영상에서 발견하지 못한 특정 위치의 병변에 대해 병변의 위치와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여 병변의 발견율이 높았으며, T-병기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대망파종의 발견율 역시 더 높았다. 그러므로 수술 전 진행성 위암의 평가에 있어서 다평면재구성 영상에서 제공되는 병변의 위치와 범위에 대한 정보를 축상 영상과 동시에 3차원적으로 고려한다면, 병변의 위치와 병기의 결정을 더 정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ultidetector-row CT (MDCT) in the preoperative T-staging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5 patients with an established diagnosis of advanced gastric cancer (T2 or more) were evaluated with MDCT. The protocol of MDCT consisted of high-quality (HQ) mode helical scanning with a slice thickness of 2.5 mm. The axial CT images were reconstructed with a slice thickness of 5 mm. MPR images were reconstructed from the raw axial data with a slice thickness of 5 mm. A comparison between the standard axial and axial MPR images was performed by two radiologists with regard to the evaluation of the tumor location and T-stage. Thes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the pathologic and surgical findings. Results: T-staging of the advanced stomach cancer was correct in 89% (58/65) and 69% (45/65) of the MPR images and axial images, respectively. The MPR images improved the detection rate (5 lesions)of the tumors and increased the accuracy of the T-staging (13 lesions) in comparison with the axial images. The MPR images are of greater diagnostic value for the evaluation of omental seeding (5 lesions: axial images, 9 lesions: MPR images), tumor location and extension. Conclusion: Multiplanar reconstruction (MPR) images provide increased confidence in the location and Tstaging of certain cases of advanced gastric cancer, such as those in locations where CT images are susceptible to be affected by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partial volume averaging. In this study, the MPR images provided more precise information about the tumor location and T-staging than the standard axial images in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advanced gastric cance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