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당뇨병환자에서 결핵성 폐렴과 세균성 폐렴: CT 소견의 비교

Tuberculous Pneumonia and Bacterial Pneumonia in Diabetic Patients: Comparison of CT Findings

  • 0
커버이미지 없음

목적: 당뇨병 환자에서 결핵성 폐렴과 세균성 폐렴의 CT 소견을 비교 분석하고, 감별진단에서 C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당뇨병 환자 중 결핵성 폐렴으로 확진된 23명(남자 21명, 여자 2명; 39-72세, 평 균연령 59세)과 세균성 폐렴으로 확진된 37명(남자 21명, 여자 16명; 27-84세, 평균연령 63 세)의 흉부 CT를 두 명의 방사선과의사가 폐경결내 저음영, 공동, 공기-기관지 영상, 폐용적 변화, 간유리상 음영, 경기관지 파급소견과 기타 동반된 소견에 관하여 분석하였고, 모든 환자 에서 침범된 분절을 기록하였다. 결과: 결핵성과 세균성 폐렴 두 환자군 간에 폐경결내 다수의 작은 저음영(52%, 0%), 다수의 공동(35%, 3%), 폐 용적 감소(70%, 30%), 경기관지 파급 소견(96%, 30%)의 빈도는 결핵 성 폐렴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5), 공동 내 저음영 종괴나 매우 불규칙한 모양의 공동은 결핵성 폐렴에서만 관찰되었다. 광범위한 간유리상 음영(4%, 38%)과 양측성 늑막 삼출(0%, 19%)은 세균성 폐렴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5), 공기-기관지 영상은 공통적으로 흔한 소견이었다(96%, 86%). 폐침윤 빈도는 하엽 상분절에서 결핵성 폐렴이 세균성 폐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5), 다른 분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폐경결을 보이는 당뇨병 환자에서 폐경결내 다수의 작은 저음영, 다수의 공동, 불규칙한 모양의 공동이나 공동내 저음영 종괴, 폐 용적 감소, 경기관지 파급소견은 결핵성 폐렴을, 광범 위한 간유리상 음영과 양측성 흉막 삼출은 세균성 폐렴을 시사하는 CT 소견으로, CT는 당뇨 병 환자에서 동반된 폐경결의 감별 진단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CT findings of tuberculous pneumonia (TBPN) with those of bacterial pneumonia (BAPN) in diabetic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T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se two diseases. Materials and Methods: The chest CT scans of 23 diabetic patients with TBPN (M:F=21:2; mean age, 59 yrs.) and of 37 diabetic patients with BAPN (M:F=21:16; mean age, 63 yrs.) were evaluated by two radiologists with regard to low attenuation areas in regions of consolidation, cavities, air bronchogram, volume changes, ground-glass attenuation, findings of bronchogenic spread, and other associated findings. The involvement of each segment was recorded in all patients. Results: The frequencies of multiple small low-attenuation areas in regions of consolidation (52%, 0%), multiple cavities (35%, 3%), loss of volume (70%, 30%) and findings of bronchogenic spread (96%, 3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BPN than in BAPN (p<.05). Low-attenuation masses and bizarre-shaped cavities were noted only in TBPN. Large areas of ground-glass attenuation (4%, 38%) and bilateral pleural effusions (0%, 19%) were more common in BAPN, while air-bronchogram was common in both groups (96%, 86%). The involvement of the superior segment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BPN (p<.05). Conclusion: In the diabetic patients with pulmonary consolidation, CT findings of multiple small low-attenuation areas, multiple cavities, bizarre-shaped cavities, low attenuation masses in cavities, volume loss, and findings of bronchogenic spread are more suggestive of TBPN, while large areas of ground-glass attenuation and bilateral pleural effusions are more suggestive of BAPN. CT may be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BPN and BAP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