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우리나라의 1996-2015년 지하수 및 댐저수량 변동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variation of groundwater and dam storage from 1996-2015 in Korea

  • 0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하수와 지표수의 장기간(1996~2015) 변동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지하수위, 댐저수량 및 강수량 자료와 미국에서 제공하는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와 Global Land Assimilation System (GLDAS)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1996~2015년 동안 우리나라의 연강수량은 948~1,857 mm/yr의 변동범위를 보였고 약 4.4년 주기로 가뭄이 발생하였다. 지하수위이상편차(anomaly)와 댐 수위 이상편차의 중앙값은 각각 -0.4~+0.4, -4.0~+4.0 m 변동을 보였다. 강수량과 지하수위 및 댐 수위는 특히 1996, 2001, 2008, 2014, 2015년에 감소하였다. 또한 2014, 2015년에는 GRACE의총물저장량(Total Water Storage Anomaly, TWSA)과 GLDAS의 지표총수분량(Total Water Content Anomaly, TWCA)도 감소하여 우리나라의 극심한 수문학적 가뭄을 지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variation of the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hydrological data including groundwater level, dam water level and its storage, precipitation for the period of 1996~2015, GRACE and GLDAS data for 2002~2015, and 2001~2014, respectively. The annual precipitation ranged between 948 and 1,857 mm/yr and showed a drought cycle with about 4.4 year period. The median values of groundwater levels and dam water levels anomalies are -0.4~+0.4 m and -4.0~+4.0 m, respectively. Precipitation, groundwater level, and dam water level were decreased especially in 1996, 2001, 2008, 2014, and 2015. Also, GRACE TWSA and GLDAS TWCA were decreased which indicates the extreme hydrological drought of Korea in 2014 and 2015.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