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학회지의 한글논문을 중심으로 논문을 잘 쓰고 한글을 잘 쓰려는 목적을 가지고 논문을 논의하였다. 논의한 대상은 논문의 내용과 그림과 표의 설명방식과 어휘들과 참고문헌의 표시방법이다. 논문에서 요약이 결론과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논평은 내용과 그림에 균형이 있어야 한다. 나아가 저자들이 한글을 올바로이해하고 한글의 객관적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림과 표의 설명에서 한글설명을 추가하고 영어설명앞에 놓아야 한다. 새로운 참고문헌 인용방식을 제안하고, 논문을 심사하는 방식과 심사에 대한 답변방식을 논의했다. 오해를 부를 어휘와 논문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한글 어휘 몇 개를 예시했다.
Korea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re discussed in terms of well written form and in good Korean. Paper itself as well as caption and references are mainly focused in discuss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bstract is different from conclusions. Balance in terms of wording and pictorial presentation are required in review papers. A good understanding and objective evaluation are necessary for our Korean language by us, Korean.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caption in Korean should be added to the English-only caption, and be followed by it. A new method of references is also proposed. Review of papers and response to the review are discussed. A couple of our Korean words of being liable to different understanding as well as few Korean ones undesirable for scientific papers are exemplifi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