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누층군 진동층에 발달한 양방향성 고수류 기록: 산상과 고환경적 의미
Bidirectional paleocurrent records in the Jindong Formation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Korea: Occurrences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 3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와 덕명리 지역에 분포하는 경상누층군 진동층(후기 백악기)의 하부 퇴적층에서확인된 양방향성 고수류 기록의 산상을 기술하고, 그 기원과 고환경적인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들 양방향성 고수류 기록은 호수연변부 기원의 퇴적층인 엽층 내지 얇은 층으로 교호하는 세립사암 내지 실트스톤과 이암의퇴적층에 간헐적으로 협재한 10 cm 내외 두께의 판상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세립사암 내지 실트스톤 퇴적층의 퇴적단면과 성층면에서 관찰된다. 퇴적단면의 경우, 유수연흔 단면에서 청어뼈사엽층리를 비롯하여 고수류의 방향이 발달 층준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기록이 나타난다. 성층면의 경우, 동일한 성층면에 발달한 유수연흔내리흐름면의 경사방향이 연흔정선의 측방향을 따라 반대로 변화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와 함께 이들 퇴적층에서는 양방향성 고수류 기록들과 함께 우상층리, 파형층리, 렌즈형층리 등이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조간대 퇴적층의 특성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후기 백악기에 염호가 발달했던 경상분지의 환경 특성과 전반적으로천해기원 화석의 산출이 부재한 가운데에 호수연변부 환경의 퇴적층이 반복하여 발달된 진동층의 퇴적 특성을함께 고려할 때, 진동층에 발달한 양방향성 고수류 기록과 우상층리, 파형층리, 렌즈형층리 등은 대규모 건조지대 퇴적분지인 호주 Eyre호 분지에서와 같이 호수연변부에서의 바람 방향의 역전과 속도 변화, 호수로의 유입수량 변화 등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The occurrences of the bidirectional paleocurrent records from the Late Cretaceous Jindong Formation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Deokho-ri and Deokmyeong-ri, Goseong County, are described, and their origin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are interpreted. The bidirectional paleocurrent records are observed in the cross sections and bedding surface of planar- to cross-laminated fine-grained sandstone to siltstone beds (about 10 cm thick) intermittently intercalated with lake margin deposits (interlaminated to thinly interbedded fine-grained sandstone to siltstone and mudstone beds). In the cross-sections of current ripples, bidirectional paleocurrent records including herring-bone cross-laminations are observed. On the bedding surface dip directions of the lee-sides are laterally opposed along the crest-lines. Flaser, wavy, and lenticular bedding are also observed with the bidirectional paleocurrent records. In general, they are deemed diagnostic indicators of marine tidal activity. Considering the saline lake development in the Gyeongsang Basin during the Late Cretaceous and the absence of marine fossils and the repetition of lake margin deposits in the Jindong Formation, however, they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attributed to changes in wind direction and velocity and discharge variations as in the Lake Eyre Basin in Australia.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