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课程思政视角下的中国大学韩国语专业课程改革方向

A study on Curriculum Reform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Based Political and Virtuous Awareness

  • 0
커버이미지 없음

77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은 오늘날 교육의 질 향상을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발전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전면적으로 고등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중국 정부는 일련의 중요한 교육 정책을 내놓았고 실시하였다. 과정사정(課程思政) 교육 개혁은 바로 그 정책들 중의 하나다. 이러한 배경 아래에서 과정사정의 시각에 입각해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의 커리큘럼 개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논의할 필요가 있는 과제다. 본 논문은 우선 과정사정의 개념적 의의를 살펴보았고 『고등교육기관 과정사정 건설 지도 요강(高等學校課程思政建設指導綱要), 이하 요강』의 핵심 이념과 주요 내용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어전공 과정사정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추방(文秋芳,2021:47~52)의 과정사정 교육 모델을 근거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상황을 연계하여 한국어 전공 과정사정 개혁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구체적인 교육 예시를 제시하였다.

With a history of 77 years,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is now entering a new era of development centered on improving teaching quality. In recent years, China has introduced a series of important measures to comprehensively improve the teaching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reform of curriculum-based political and virtuous awareness is the most important one at present. Under such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reform direction of the curriculum of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based political and virtuous awareness. This paper firstly analyzes the connotation of curriculum-based political and virtuous awareness, and interprets the content of ‘Guiding Outline of curriculum-based Political and Virtuous Awarenes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Guiding Outline)’. Then this paper defines the teaching objectives and elements of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based political and virtuous awareness. Finally, this paper expounds the orientation of curriculum-based political and virtuous awareness teaching practice of Korean language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through a specific cas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