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행단계의 첫 두 단계로서 윤리적 수행단계에 속하는 야마와 니야마를 중심으로 요가의 수행윤리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그 논의함에 있어 요가수뜨라(Yogasūtra) 가운데 주로 제2장 실수품의 게송 제29부터 제45까지에 나타난 요가의 수행윤리에 관심을 두고, 8지요가 수행 가운데 야마와 니야마의 수행윤리를 살펴보았다. 주로 1차 원전자료로서 산스끄리뜨의 요가수뜨라(Yogasūtra)와 요가 우파니샤드(Yoga-Upaniṣad) 그리고 요가수뜨라 주석서(Yogasūtrabhāsya-vivarṇ- aṃ)에 나타난 요가 수행 8단계(aṣṭāṅga)를 연구하였고, 2차 자료로서 요가 연구서를 참조하였다. 먼저 연구목적과 최근의 요가에 대한 연구동향, 연구방법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해서 다룬다. 다음으로 수행윤리와 요가의 수행윤리를 살펴보고, 그 가운데 요가의 수행윤리를 불상해, 진실, 도둑질하지 않음, 금욕(범행), 탐내지 않음의 야마(Yama)와 청정, 만족, 고행, 독송, 최고신에 대한 기원 등의 니야마(Niyama), 요가의 수행윤리의 목적과 이득으로 세분화하여 기술하였다. 끝으로 현대사회에서 요가의 수행윤리에 관한 현실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요가의 수행윤리는 Yama와 Niyama의 개념에 잘 나타나 있다. 먼저 윤리적 수행단계 가운데 요가수뜨라에 따르면, 야마(금지계)는 불상해(ahiṃsā), 진실(satya), 도둑질하지 않음(asteya), 금욕(범행, brahmacariya), 탐내지 않음(aparigraha)이라는 다섯 가지로 구성된다. 아울러 권고계도 청정, 만족, 고행, 독송, 자재신에 대한 기원으로 열거하고 있으며, 청정과 만족은 내용상 윤리적 의미에 포함되지만 나머지 세 가지는 내용상 윤리적이기보다는 실천덕목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요가의 윤리는 악을 버리고, 선을 증장하여, 마침내 선악을 초월한 종교윤리, 해탈을 위한 수행윤리이다. 요가의 수행윤리는 야마와 니야마로 정의되며 야마는 제한, 금지, 금지해야할 것, 니야마는 제한, 통제, 권고, 약속, 명세라는 의미이다. 금지해야 할 것과 권고해야 할 것은 5가지 내지 10가지로 구분하여 요가수뜨라와 요가 우빠니샤드에 개념을 기술하고 있다. 주석서에 따르면, 아힘사(불상해)는 모든 방법으로 항상 모든 존재들에게 해를 주지 않는 것이고, 모든 방법으로 모든 아트만으로 모든 존재들에게 해를 주지 않은 것, 모든 존재들에게 해를 주지 않는 것, 억압하지 않는 것이다. 진실은 사실대로 말하고 생각하는 것이다. 보인 대로, 사실에서 추론된 대로 말하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말이 다른 존재들에게 해를 준다면 그것은 진실이 아니라 죄이라는 등으로 해석하고 있다. 야마와 니야마는 경전마다 각각 개념을 상이하게 설명하고 있다. 야마는 인도의 종교윤리와 관련이 있으며, 니야마는 일반적 윤리와 달리 요가 수행의 최고 단계, 해탈 독존에 이르기 위한 수행적 윤리를 강조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요가의 수행윤리의 목적은 한마디로 마음작용을 제한하여 해탈 독존에 이르는 것이다. 그리고 요가수행자는 야마와 니야마의 수행을 통해서, 불살생의 확립으로 적대감을 없애고, 정직을 확립하여 행위와 결과를 일치시키고, 도둑질하지 않아 모든 재보가 모이게 하고, 음란하지 않아 정력을 얻고, 욕심내지 않아 출생에 관한 의문을 깨달을 수 있다. 또한 청정으로 자기 육체에 대한 혐오를 생기게 하고 남과 접촉하고, 만족으로 최고의 즐거움을 얻고, 고행으로 오염을 소멸시켜...
This paper deals with the ethics of the practice in Yoga. This study looks into the above subject in each chapter as follows: ChapterⅠ introduces the objectives and methods for this study. ChapterⅡ refers to the Ethics in Indian and of the Practice. ChapterⅢ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 Yama and Niyama. In this Chapter I am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Yama and Niyama in Yogasūtra and Yoga-Upaniṣads. In this chapter I explained also the division and category of the contents, namely, the division according to the Yama and Niyama. ChapterⅣ addresses the meaning of the Ethics of the Yoga Practice in the modern Society. Finally, in ChapterⅤ, in general, my assertions about the Ethics of the Practice can be summarized.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various the Ethics of the Practice in the Yogasūtra and Yoga-Upaniṣads. Summing up the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The highest aim of every practice in Yoga enters into Moksha and Kavalya. in the Yoga are there the eight accessories of Yoga, namely, Restraint, Observance, Posture, Regulation of breath, Abstraction, Concentration, Meditation and Trance. Restrain(Yama) and Observance (Niyama) is divided into five or ten parts. Of These the restraints are: Abstinence from Injury, Veracity, Abstinence from theft, Continence, Abstinence from avariciousness. The observances are Cleanliness, Contentment, Purificatory action, study and the marking of, the Lord the motive of all action. These two as the Ethics of the Practice in Yoga 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deliverance from pains and worldly bonds.
(0)
(0)